김영록 전남지사가 대권 도전의 꿈을 접었다. 김지사는 “호남 대망론”은 앞세워 대권 도전 의지를 밝혔지만 현실의 벽을 넘지 못하고 중도 하차를 선언했다. 김 지사의 불출마로 “호남 대망론”은 기약 없이 표류하게 됐다.

 김영록 지사는 불출마의 변으로 “이재명 대표와 함께 하면서 호남 발전을 꾀하는 것이 오히려 호남 분들이 더 바라는 것 아닌가 생각 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1극 체제를 무너뜨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호남 발전을 명분으로 현실론을 택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김 지사의 불출마로 그의 다음 행보는 중앙 진출이냐 3선 도전이냐로 관심이 모아진다.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조기 대선은 사실상 이재명 독주 체제가 굳어지고 있다. 각종 여론 조사에서도 이재명 전 대표의 승리가 점쳐진다. 반면 국민의힘에서는 그만 그만한 후보가 난립해 어리둥절하게 한다. “내란 옹호 정당”이라는 오명에도 불구하고 후보가 난립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으니 유권자들이 헷갈릴 정도다. 후보를 내는 것도 어려운 판에 ‘윤석열 팔이’에 정신이 없으니 정치판이 이래도 되는가 싶다.

 이번 대선에서도 호남 유력주자는 보이지 않는다. 김 지사가 꿈을 접으면서 DJ를 이을 주자 찾기는 호남 정치의 큰 과제로 남았다. 호남에서 차세대 주자가 나오지 못한 것은 개인적인 역량 부족과 지역세의 감소, 유권자들의 인물 선택기준 변화 등이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영록 지사의 불출마로 가뜩이나 줄어든 호남의 인물 명맥이 끊기지나 않을지 걱정이다.

 호남 유권자들의 정치 의식은 매우 높다. 그에 비해 큰 인물을 만들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특히 중앙에서 활약하는 중간 간부급이 크게 줄고 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아예 “씨가 말랐다”는 것이 정설이다. 전남 도정을 잘 이끈 인물이라면 3선 도전도 좋지만 국가적 인물로 성장하는 것도 고려할 일이다. 김영록 도지사의 대권 도전은 끝났다. 하지만 그의 차기 행보가 전남지사에 머무를지는 모를 일이다. 포스트 DJ급 인물 출현을 고대하는 지역 정서에 부응하는 정치인으로 성장할지 지켜보고자 한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