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하면 3대 망하고 친일하면 3대 흥한다는 말 사라져야"
"전쟁 걱정 없는 평화로운 나라 만드는 것이야말로 희생·헌신 응답"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6일 오전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진행된 제70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은 이제 영원히 사라져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와 공동체를 위한 희생이 합당한 보상으로 돌아오는 나라, 모두를 위한 헌신이 그 어떤 것보다 영예로운 나라가 돼야 한다"며 "이재명 정부는 책임과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이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고 품격을 더하도록 예우는 더 높게, 지원은 더 두텁게 할 것"이라며 "국가를 위한 희생에 합당한 보상이 이루어지게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참전유공자의 남겨진 배우자가 생활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국가유공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집 근처에서 제때 편리하게 의료 혜택을 누리실 수 있도록 빈틈없는 보훈의료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군 경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현실화해 국가유공자와 제대군인의 헌신에 합당한 예우를 갖추겠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밤을 지새우며 나라를 지키는 군 장병들과 재난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소방관들, 범죄 현장에서 발로 뛰는 경찰관의 헌신 덕분에 오늘도 우리 국민들께서 안심하고 일상을 누리는 것"이라며 "제복 입은 시민들이 아무런 걱정 없이 오직 국가와 국민을 지키기 위해 일할 수 있도록 복무 여건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제복 입은 민주시민들이 국민을 지킬 동안 대한민국이 군 장병과 경찰, 소방공무원들을 지키겠다"고 했다.
그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께서 지켜온 나라가 더욱 빛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오늘을 누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공동의 책무"라며 "전쟁 걱정 없는 평화로운 나라, 일상이 흔들리지 않는 안전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그 거룩한 희생과 헌신에 대한 가장 책임 있는 응답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든든한 평화 위에 민주주의와 번영이 꽃피는 나라, 자부심과 긍지가 넘치는 그런 대한민국으로 보답하자"며 "언제나 국난 앞에서 '나'보다 '우리'가 먼저였던 대한민국의 저력이라면 충분히 해낼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과 헌신을 가슴에 단단하게 새기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추념사에서 해군 해상 초계기 순직자인 박진우 중령과 이태훈 소령, 윤동규 상사와 강신원 상사의 이름 등을 불렀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 고인들의 유가족들을 비롯해 "화마에 맞서 국민의 생명을 지키다 순직하신 임성철 소방장의 유가족 분들이 함께 하고 계시다"며 "이 자리를 빌려 깊은 애도와 위로를 표한다. 우리 국민께서는 고인의 헌신을 뚜렷이 기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 국민과 국가가 위험에 처했을 때 기꺼이 자신을 바치고 희생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며 독립운동가, 군 장병 등을 언급하면서 "독재의 억압에 굴하지 않고 민주주의를 위해 싸운 수많은 분들이 있었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그 고귀한 헌신 덕분에 우리는 빛을 되찾을 수 있었다. 그 숭고한 희생 덕분에 우리나라는 전쟁의 상흔을 딛고 세계 10위의 경제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그 빛나는 용기 덕분에 오랜 독재의 질곡에서 벗어나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민주주의 모범 국가로 우뚝 섰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아니었다면 결코 이루지 못했을 눈부신 성취"라며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평화, 풍요와 번영이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래서 우리는 해마다 이렇게 모여 기억하고 기록하고 책임을 다하겠다는 다짐을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비무장지대(DMZ) 지뢰 제거 작업 중 지뢰 폭발로 부상을 입은 예비역 육군 병장 김희태 씨 등 4명에게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대통령 명의 국가유공자증서를 수여했다.
김대원 기자 kdw34000@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