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서민들이 지쳐가고 있다. 올 여름 서민들의 여름 나기는 예년과 비할 바가 아니다. 노년층이 다수를 점한 지역내 에너지 빈곤층의 여름은 훨씬 가혹하다. 7~8월 최악의 폭염이 예고돼 있어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도움의 손길이 절실하다.

 에너지 빈곤층이라 하면 4인 가족 월소득이 211만 원 이하로, 소득의 10% 이상을 연료 구입에 사용하는 가구를 말한다. 매년 늘어나는 에너지 빈곤층은 전체 가구에 8.7%에 이르렀다는 통계다. 폭염이 에너지 빈곤층에게 주는 타격은 가혹하기 이를 데 없다. 특히 올해 같은 극강의 폭염과 열대야가 반복되면 에너지 사용을 함부로 할 수 없는 빈곤층에게는 최악의 한 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정부에서는 이들을 돕기 위해 ‘에너지 바우처’사업을 실시중이다. 에너지 바우처는 빈곤층에게 에너지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현재 바우처 제도는 대부분 겨울철 난방비에 치우쳐 있어 여름철 폭염 대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특히 도시 가스 보급률이 낮고 초고령 인구가 많은 전남 농어촌 지역은 에너지 바우처제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그렇다면 지자체가 나서 에너지 빈곤층의 실태부터 파악해야 한다. 독거노인이나 쪽방촌 실태는 사각지대로 방치된 경우가 많다. 행정당국이 관심을 기울인다고 하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 지자체도 경로당이나 무더위 쉼터 등에 행정력을 동원할 뿐 에너지 빈곤층 까지는 도움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에너지 바우처제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가구도 많다.

 올 폭염은 차원이 다르다. 그렇다면 빈곤층을 대상으로 바우처 제도를 간소화해 에너지 비용을 직접 지원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살인적 폭염과 열대야를 앞두고 각자 알아서 하라면 할 말은 없다. 기후 재난급 폭염을 맞아 빈곤층부터 손을 내밀지 않으면 기후 재앙은 머지않아 우리 사회를 송두리째 집어 삼킬지 모른다. 올해 폭염은 인간이 어찌해볼 영역이 아니다. 우선은 에너지 빈곤층부터 살필 일이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