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차 한빛원전 대책 특위 개최
방사능 사고 예방 선제적 대응 촉구
영광군의회(의장 김강헌)는 7월 29일 ‘2025년 제3차 한빛원자력발전소 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장영진)’를 개최하고, 최근 발생한 원전 부품 결함 문제와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빛 5호기 제어봉 구동장치 오메가씰 누설 사고 ▲SKF사 비순정 베어링 대량 납품‧사용 문제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한빛원자력본부는 지난 7월 5일, 계획예방정비 중이던 한빛 5호기에서 제어봉 구동장치(68번) 오메가씰 부위에서 약 115리터의 붕산수가 누설된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
방사능 오염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사고 원인은 오메가씰 내부 기공(Gas Pinhole) 파열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현재 보수 작업과 전수검사, 감시 강화 조치가 진행 중이다.
또한, SKF사 비순정품 베어링이 1‧2‧3호기에 총 197개 설치된 사실도 확인됐다. 이는 지난 5월 보고된 수량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한빛본부는 오는 9월 말까지 전량 교체 및 재발 방지 대책을 완료할 계획이다.
특위 위원들은 이같은 반복적 결함과 관리 부실을 강하게 비판하며, 핵심설비인 원자로헤드와 관련해 제작사인 두산중공업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결함이 드러난 부품은 전면 반품‧교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원자로헤드는 최소 40년간의 안정성이 요구되는 핵심 설비인 만큼 초기부터 결함이 발생한 제품은 용납할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원전 가동 지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 세수 손실에 대해서도 한국수력원자력과 관계기관이 책임 있는 보전 대책을 마련할 것을 강하게 요구했다.
장영진 특위 위원장은 “사고 이후 수습에 그치지 말고, 군민의 안전을 최우선에 둔 사전 예방 중심의 체계 구축과 투명한 정보 공개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앞으로도 군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감시와 책임을 끝까지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훈석 기자 a01099928212@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