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最善)의 2인자
공직사회가 엉망이 되었다. ‘나라 잘 되는 데는 열 충신으로도 모자라지만 나라 망치는 것은 혼군(昏君)이나 간신(奸臣) 하나면 충분하다’는 옛말이 괜한 말이 아님을 실감하고 있다.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왕조체제를 벗어난 지가 10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그 때보다 못한 일들이 나라와 공직사회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의 기강이 무너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망국의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길 밖에 없다. 깨어있는 시민들이 정신 바짝 차리고 이 난국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서 역대 중국의 청백리들을 소개하여 반면교사로 삼고자 한다. 많은 격려와 질정을 바랄 뿐이다.
글쓴이 김영수(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는 지난 30년 넘게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그가 남긴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 3천 년 통사 《사기(史記)》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다. 그 동안 150차례 이상 중국의 역사 현장을 탐방했으며, 많은 저역서를 출간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간신 3부작’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 《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 《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 등이 있다. (편집자주)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엄격한 법도 한 몫을 했다. 상앙(商○)이 변법개혁을 실시한 이후 엄격한 법의 부산물로 법에 정통한 이른바 ‘법리(法吏)’가 탄생한 것도 당연했다. 이들 법리는 법에 정통해야함은 물론 각종 문서를 작성할 줄 알아야 했다. 당시에는 죽간에다 글자를 쓰거나 새겼기 때문에 법리들은 늘 붓이나 칼을 가지고 다녔다. 여기에서 ‘도필리(刀筆吏)’란 이름이 생겨났다.(죽간이나 목간에 붓으로 판결문 따위를 쓰는데 혹 틀리게 쓰면 칼로 긁어내고 다시 썼기 때문에 붓과 칼을 같이 지니고 다녔다.) 법리는 통상 각종 범죄사건을 다루었으므로 옥리(獄吏)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결국 법리·도필리·옥리는 한 뿌리인 셈이다.
‘도필리’란 말은 서한삼걸의 한 사람인 소하(蕭何)의 전기인 <소상국세가>에 보인다. 유방이 천하를 재통일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소하는 그 공을 인정받아 1등 공신에 서한 정권의 초대 승상이 되는데, 사실 소하는 유방에게 귀의하기 전에 진나라에서 ‘도필리’를 지냈다. 진나라는 법리들을 상당히 존중했고, 한나라 초기만 해도 법리 출신의 관리들이 조정에 꽤 많이 발탁되어 일을 했던 것 같다. 소하는 승상이 된 다음에 도필리의 경력을 발휘하여 정권 안정에 필요한 법률을 정비하기도 했다.
소하(蕭何), 유방을 만나다
도필리 소하는 별 다른 직업 없이 ‘호주색(好酒色)’하던 건달 유방의 뒤를 봐주었다. 술 때문에 사고를 치면 그 뒷수습은 다 소하의 몫이었다. 이런 소하가 있었기에 유방은 마음껏 마시고 놀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진나라의 통치가 계속되었더라면 두 사람의 관계는 모르긴 해도 죽을 때까지 이런 식으로 유지되었을 것이다. 두 사람의 관계는 진시황의 죽음을 계기로 천하가 요동을 치면서 극적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사마천은 고조 유방과 같은 고향 출신의 개국공신들의 전기인 <번역등관열전>의 끝부분 논평에서 이렇게 말했다.
“내가 풍(○), 패(沛)에 가서 그곳 노인들을 방문하고, 소하(蕭何), 조참(曹參), 번쾌(樊○), 등공(○公)의 옛 집과 평소 행적을 살펴보니 들은 바가 매우 기이했다. 그들이 칼을 휘두르며 개를 도살하거나 비단을 팔고 있었을 때, ‘(파리가) 준마의 꼬리에 붙어’ 천리를 가듯이 자신들이 한 고조를 만나 한나라 조정에 이름을 날리고 자손들에게 은덕을 내릴 수 있으리라는 것을 어찌 알았겠는가?”
위 대목에서 ‘준마의 꼬리에 붙다’는 ‘부기지미(附驥之尾)’란 성어가 나왔다. 대개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하잘 것 없는 미물이 준마의 꼬리에 달라붙어 천리를 가듯이 뛰어난 사람을 모시게 되면 덩달아 출세하는 것을 비유한다.
‘부기지미’는 훗날 ‘승수기미(蠅隨驥尾)’라는 성어로 변형되었다. ‘파리가 준마의 꼬리를 따르다’는 뜻으로 파리가 구체적으로 등장했다. ‘승수기미’는 《후한서》 <외효전(○○傳)>에 보인다.
소하가 당시 유방을 천리를 한걸음에 내달리는 준마로 보았는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사실은 그가 유방이라는 ‘천리마 꼬리에 붙음’으로써 중국 역사상 두 번째 통일제국이자 중국(인) 나름의 역사와 문화 형성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한 왕조의 제2인자이자 초대 재상이 되었다는 것이다. 소하는 하급 관리에 불과했던 도필리에서 ‘일인지하만인지상(一人之下萬人之上)’의 자리에 올랐다. 그렇다면 그는 어떤 능력의 소유자였을까?
기원전 206년, 유방(당시 패공)은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무관(武關)으로 진입했다. 유방은 패상(○上)에 이르러 함양(咸陽)으로 사람을 보내 자영(子○ ?~기원전 206)에게 항복을 권했다. 당시 자영은 실세 조고(趙高)에 의해 3세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46일 만에 조고를 찔러 죽인 다음 그 삼족을 처형한 뒤였다. 유방의 압박에 자영은 무력충돌 없이 평화롭게 항복하기로 약속하고는 바로 죄인처럼 목에 끈을 매고 ‘흰 말이 끄는 장식 없는 수레’를 타고 황제의 옥새와 부절을 받들고 나와 지도(○道) 부근에서 항복했다. 이로써 중국 역사상 최초의 통일제국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 통일 후 15년 만에 망했다.(‘자영이 흰 말이 끄는 장식 없는 수레’를 타고 나온 이 사실에서 ‘소거백마’ 또는 ‘백마소거’라는 성어가 나와 항복이나 항복을 나타내는 의식을 비유하는 표현이 되었다.)
유방 일행은 함양성의 화려함과 중장함에 압도되었다. 수많은 궁녀와 산해진미에 넋이 나간 유방은 순간 마음이 흩어져 이곳에 그냥 눌러 앉으려 했다. 번쾌와 장량이 나서 이를 말리자 유방은 바로 마음을 고쳐먹고 약탈과 방화를 금지시킨 다음 바로 함양성에서 물러나왔다. 그 사이 소하는 함양성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문서를 챙겼다. 특히 호적(戶籍)은 꼼꼼하게 확보했다. 호적은 세금 징수와 징병에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문서였다. 도필리 경력을 가진 소하의 안목과 재능이 빛을 발한 행동이었다.
‘도필리’ 경력을 한껏 발휘하다
유방 진영의 이런 행동을 전해들은 항우의 책사 범증은 항우에게 “ (패공 유방이) 함곡관에 들어와서는 재물도 취하지 않고 부녀자들도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그 뜻이 작은 데 있지 않지 않습니다. 내가 사람들에게 그 기운을 살피게 했더니 모두 용과 호랑이처럼 오색찬란한 것이 천자의 기운이라고 했습니다. 서둘러 쳐서 기회를 잃지 마시오”라고 경고했다.
뒤늦게 함양에 들어온 항우는 약탈과 방화를 일삼고 자영도 살해했다. 이 때문에 항우는 민심을 크게 잃었다. 전력 면에서 크게 열세였던 유방은 항우를 찾아 항복에 가까운 굴복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 두 진영이 만난 역사적 사건이 바로 ‘홍문에서의 술자리’ ‘홍문연(鴻門宴)’이다.(이 사건은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범증은 항우에게 유방을 죽이라고 거듭 권했지만 항우는 망설이다 기회를 놓쳤다. 아무튼 천하의 패권은 항우에게로 넘어갔고, 항우는 진나라 멸망에 공을 세운 사람들을 대상으로 분봉(分封)을 시행했다. 유방은 한왕(漢王)이 되어 한중(漢中)으로 들어갔다. 한중은 한 번 들어가면 나오기가 거의 불가능한 곳이었다.
항우가 유방을 한중으로 보낸 것은 당연히 고의였다. 가장 강력한 경쟁자인 유방의 손발을 묶겠다는 뜻이었다. 한중으로 들어간 유방은 크게 낙담했다. 향수병에 걸린 장병들 사이에서 도망자가 속출했다. 그런데 이 오갈 데 없는 국면을 타개할 새로운 인재가 나타났고, 그 인재를 알아 본 사람은 다름 아닌 소하였다.
김영수 사마천학회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