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조직 개편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유력해지면서 벌써부터 전람남도가 최적지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여기에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호남을 표시 나게 돕겠다”고 약속한 만큼 기후에너지부 전남 유치가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오늘날 예측 불가능한 폭염과 한파, 기록적인 홍수와 가뭄이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대한민국은 전 세계가 겪는 기후 재앙의 최전선에 놓여 있으며 올여름은 거의 절정에 이르고 있다. 이제는 국가적 역량을 모아 강력한 ‘컨트롤 타워’를 세워 기후위기에 대비해야 할 때다.
현재 기후 위기 대응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각 부처가 다루고 있다. 그러다 보니 정책의 일관성이 떨어지고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지휘력 있는 독립 부서 설립이 절실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새 정부 들어 국정 최우선 과제로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떠오른 것도 자연스럽다.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될 경우 최적지는 전라남도다. 전남은 기후 위기 대응의 핵심인 재생 에너지 전환에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갖춘 지역이다. 광활한 갯벌과 긴 해안선, 풍부한 태양광 자원과 해상풍력 등 잠재력을 품고 있다. 실제로 전남은 국내 최대 규모의 신안 해상풍력단지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이미 활발하게 추진 중이다. 여기에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도 강점이다.
기후에너지부 전남 설치는 국가 균형 발전이라는 시대적 가치에도 부합한다. 수도권 일극주의를 벗어나 지역적 특색을 살린 국가기관 배치는 대한민국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기후에너지부가 대한민국 청정에너지의 심장, 전남에 들어서는 것은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민주당도 표시나게 호남을 도우려면 기후에너지부 전남 유치에 힘을 실어야 한다. 당정의 과감한 결단으로 기후 에너지부 전남 유치가 현실화되기를 강력히 요구하는 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