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일선 교육 현장이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둘러싸고 큰 혼란에 빠졌다고 한다.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가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격하되면서 도입할지 말지를 두고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에서는 올해 1학기 36개 학교가 AI 디지털 교과서(AIDT)를 선택해 수업에 활용해 왔다. 그러나 디지털 교과서 위치가 보조자료로 격하되면서 학교 현장은 곤혹스런 상황으로 빠져 들게 됐다. 예산이 줄고 ‘AI 교과서 퇴출 위기’라는 말까지 무성해 2학기 수업을 앞두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연출 된 것이다.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는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교육 개혁의 핵심도구였다. 졸속이라는 비판이 쏟아졌으나 밀어붙이다 화를 키웠다.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이 얼마나 큰 파장을 일으키는 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대로 가다가는 AI디지털 교과서가 대표적 교육 실패 사례로 남지 않을까 걱정이다.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 혼란은 일관성 없는 교육정책이 불러온 예고된 혼란이었다. 교육정책은 장기적인 유불리 따져 결정해야 한지만 인공지능 교과서는 시행의지는 강했으나 졸속이라는 문제를 넘지 못해 벽에 부닥친 대표적인 케이스다.

 무슨 교육 정책이든 학교 현장의 수용 능력을 따지는 것은 기본이다. 그러나 인공 지능 교과서는 철저히 현장 목소리를 무시했다. 교과서를 디지털화 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가 필수였지만 당국은 지침만 내릴 뿐, 현장 지원과 교육은 미비했다. 선생님들은 새로운 기술 습득과 기존 업무의 이중고 속에 갈등할 수밖에 없었다.

 인공지능 교과서의 미래는 앞으로가 문제다.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누가 끌고 갈 주체인지 조차 불분명하다. 비록 AI교과서가 교과서 자격을 상실했다 해도 AI를 교육에 접목시키는 것은 시대적 대세다. 이런 필요성에도 졸속행정으로 인공지능 교과서를 누더기로 만든 정책 집행자들의 행태가 개탄스럽다. 당장은 일선 교단의 혼란부터 수습해야 한다. 할지 말지부터 정하라는 얘기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