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호기 첨단전략산업 등 각종 발전현안 대응
갈수록 질적·양적 업무 팽창…주말·휴일 반납 빈발
지역 공직사회 활력 제고…효율적 관리시스템 서둘러야
이재명 정부의 최대 수혜지역으로 여겨지는 전남도 업무가 팽창하고 있다는 시각이 많다.
시시각각 현안 대응과 속도감 있는 행정을 위해 일선 공무원의 업무가 과부하에 결려 ‘아우성’도 나온다.
전남시대를 맞았다는 평가 속에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조직·인력 쇄신 및 강화 방안이 서둘러 세워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소 현 정부 5년간 전례 없는 지역 발전을 이끌어가야 하는 만큼 유능한 인재 발탁과 양성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24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새 정부 출범 전후로 전남도정의 현안 업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정부 국정과제에 숙원사업과 핵심 현안을 대거 반영하기 위해 일부 부서에선 주말·휴일도 반납하고 업무에 매달리고 있다.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 5개년 과제에 국립의대 신설과 RE100 산단 조성을 포함한 지역 7대 공약 15대 추진과제를 넣는 성과를 거둔 것은 이런 일선 공무원의 노고가 컸다는데 별 이견이 없다.
현재 소비쿠폰의 소비 진작 등 민생경제 회복과 현안사업 국비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고, 최첨단·전략산업 유치뿐 아니라 석유화학·철강산업의 친환경·고부가가치산업으로 전환 방안에 골몰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폭염과 폭우에 따른 재난이 이어지면서 현장공무원들은 민원 대응과 지원에 여념이 없는 표정이다.
이런 피로감은 지난해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탄핵정국과 대선정국 등이 줄줄이 이어지면서 쌓여갔다고 한다.
이중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기 위해 현장에서 1대1 매칭으로 온 힘을 다했다는 평가가 잇따랐다.
이처럼 거의 1년 동안 지역사회 환경의 악조건과 호조건의 반복 속에서 공직사회의 에너지가 고갈되고 있다는 하소연이다.
도청 한 공무원은 지난주 지역 노조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이제 막 공직에 입문한 MZ세대가 아님에도 너무 힘이 든다”며 “금요일 퇴근 시에 갑자기 내린 지시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금요일 야근, 토요일 회의자료 작성과 일요일 검토를 위한 회의가 반복되고 있다. 몇 달째인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느닷없는 지시가 더 많아서 문제다. 정부 기조에 맞는, 도정을 먹여 살릴, 그런 중요한 안건을 주말 이틀 사흘 사이에 번갯불에 콩 볶아먹듯이 만들어내라고 하면 심도 있고 현실적인 방안이 나오겠느냐”고 해 도청 내부가 술렁였다.
현재 전남도 조직은 17개 실국본부 체제로 일반직 2280여 명(복지직·소방직 제외)이 근무하고 있다. 거의 모든 부서가 현 정부 정책코드에 맞닿아 있다는 게 중론이다.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첨단전략 업무에서부터 지방소멸 위기를 맞은 농도 전남의 마을 구석구석 사업까지 적극행정의 손길이 요구된다.
이재명 정부의 ‘황금찬스’를 맞아 기민한 대응이 더욱 절실해지면서 허리 역할을 하는 중간급 공무원들의 부담은 한층 가중되고 있다.
민선 8기 도정을 이끄는 김영록 지사 자신도 최근 본보와 인터뷰에서 “몸이 두 개라도 부족할 정도”라고 했다.
매주 정부 관계부처와 국회 등을 방문하며 현안 설명 및 국정과제 반영, 국비 확보 노력을 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그의 행보는 공직사회 특성상 수직적으로 전달될 수밖에 없어 일선 부서의 하중은 늘고 부지런함이 중시된다.
전남도 한 중간급 공무원은 “최근 전체적으로 일이 많아지며 분주히 움직여야 한다”며 “그런데 업무가 특정 소수에게 몰리는 경향이 있다. 담당 조직원이 일을 공유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계속 현안이 쌓인다면 인력 보강 및 확충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국 지자체 조직 정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도 단위 일반직 공무원 수는 평균 2770여 명이며, 인구 100~200만 명인 도의 평균은 2150여 명이다.
전남도의 경우가 적다고 할 수 없지만 시대적 흐름에 따라 업무 수요가 급증한다면 맞춤식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휴일까지 반납해야 하는 일선 공무원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책도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전남도 관계자는 “불합리한 관행과 일하는 방식을 개선해 공무원이 자부심을 갖고 신명 나게 일하는 공직문화를 만들겠다”며 “공직사회 활력 제고 추진 계획을 별도 수립해 현장공무원 처우 개선, 우수공무원 포상·승진 확대 등 중장기 공직문화 혁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