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드림CEO아카데미 강연
“차별화된 도전, 세계를 리드하는 힘”

27일 ‘2025 드림 CEO 아카데미’ 8강 강사로 나선 서경덕 교수.
27일 ‘2025 드림 CEO 아카데미’ 8강 강사로 나선 서경덕 교수.

 국가 브랜드보다 도시 브랜드가 더 중요한 시대, 차별화된 도전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을 알리는 일은 곧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것.

 “세계 시장을 향해 나아가려면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어떻게 버무려 세계인들과 소통할 수 있을지부터 고민해야 합니다.” 한국문화 전파 전도사로 알려진 서경덕 교수가 던진 화두다.

 27일 라마다플라자 광주호텔에서 열린 ‘2025 드림CEO아카데미’ 8강에서 서 교수는 ‘한국 문화와 역사 홍보, 왜 중요한가’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그는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로 대한민국 최초로 뉴욕타임스에 사비를 들여 독도 광고를 게재하고, 세계 주요 전광판에 한글·한식 홍보영상을 상영하며 한국 알리기에 앞장서 온 한국 홍보 전문가다.

 이날 강연에서 서 교수는 세계 배낭여행 중 서양 청년들을 만나 얻은 통찰을 소개했다. 그가 “중국이나 일본을 어떻게 알게 됐냐”라고 물었을 때 돌아온 답은 한결같았다. “차이나타운과 스시집”이었다. 직접 여행하지 않았더라도 음식 문화를 통해 자연스레 이미지가 각인됐다는 것이다.

 이 경험은 이후 그의 비빔밥 캠페인으로 이어졌다. 그는 MBC ‘무한도전’과 함께 뉴욕 타임스퀘어 전광판에 비빔밥 광고를 걸어 세계적 화제를 모았다. 이후 뉴욕타임스 전면광고로 확산시킨 그는 “웰빙푸드와 ‘테이크아웃’ 문화에 적합한 음식으로 비빔밥만 한 게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여기서 ‘상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절감했다. 광고 속 날계란 사진을 본 서양인들이 거부감을 보였기 때문이다. 서 교수는 “인도에서 육회 비빔밥을 내는 것과 같다”며 “우리 문화를 알리면서도 상대방의 문화와 정서를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문화뿐 아니라 역사 홍보 사례도 전했다. 뉴욕타임스에 독도 광고를 낸 뒤 BBC 인터뷰 요청이 들어왔고, 이는 일본 정부의 부당함을 국제 여론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됐다. 더 나아가 네티즌들이 자발적으로 2억 원 넘는 모금을 모아 워싱턴포스트에 ‘역사 왜곡 중단’ 광고를 게재한 사례도 소개됐다.

 그는 “한 개인의 작은 아이디어가 전 세계 언론을 움직이고, 여론을 압박하는 힘으로 이어졌다”며 “꾸준한 캠페인이야말로 변화를 이끌어내는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서 교수는 기업인들이 글로벌 시대를 넘어 ‘글로컬’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 브랜드보다 도시 브랜드가 더 중요한 시대”라며 “광주 역시 세계 무대에서 차별화된 도시 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그는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첫째는 글로벌 에티켓이다. 그는 “해외 파트너와 소통할 때 기본 매너가 무너지면 아무리 큰돈을 들여도 존중받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둘째는 창의적 사고다. “세계는 최고보다는 최초를 기억한다”며 ‘처음’이라는 가치를 기업인들에게 강조했다. 셋째는 즉각적인 실행력이다. 그는 “‘바로’ 행동으로 옮길 때 변화가 시작된다”며 “작은 아이디어라도 곧바로 실행해 세계와 경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끝으로 그는 “이제는 서울만 바라볼 시대가 아니다. 광주를 비롯한 각 지역이 창의와 실행으로 세계와 소통할 때, 대한민국 전체가 존중받는 나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