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호세 변호사 내·외국인 생활법률] 

문호세 변호사.
문호세 변호사.

문호세 변호사는 2013년부터 광주 지역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민사, 형사 사건은 물론 학교폭력, 소년보호사건 같은 청소년 사건을 통해 각계각층의 의뢰인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을 하며 마주치는 수많은 법률문제에 대한 정보를 우리 지역민들과 공유하고 함께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Since 2013, Attorney Moon Hose has been practicing law in the Gwangju area, handling a wide range of cases including civil and criminal matters, as well as youth-related cases such as school violence and juvenile protection. Through these experiences, She has met clients from all walks of life. He hopes to share information on the many legal issues we encounter in everyday life with local residents and engage in meaningful discussions together.

 -돈을 빌려 간 지인이 상속 지분을 포기하기로 협의했다고 합니다. 재산을 상속받아야 제가 빌려준 돈도 돌려받을 수 있는데 상속 지분을 포기해버려 막막한 상황입니다. 지인이 포기한 상속 지분을 되찾아 올 방법이 있나요.

 △재산보다 빚이 더 많아 채무초과 상태에 있는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할 것을 알면서 자신의 재산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하는 것을 사해행위라 부릅니다. 채무를 부담하는 상속인이 상속재산 분할 협의를 통해 자신의 법정상속분에 현저히 미달하는 재산만을 취득하였다면 채권자는 이를 사해행위로 보아 취소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상속재산 분할 협의는 상속 개시로 공동상속인들 사이에 잠정적으로 공유 상태에 놓인 상속재산을 각 상속인의 단독 소유로 확정하는 행위로, 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이므로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대법원은 이미 채무초과 상태에 있는 채무자가 상속재산 분할 협의를 하면서 자신의 상속분에 관한 권리를 포기하거나 법정상속분보다 적은 재산을 취득함으로써 일반 채권자들을 위한 공동담보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면, 이러한 분할 협의는 원칙적으로 채권자에 대한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채무초과 상태의 채무자가 유일한 재산인 상속 부동산에 대한 자신의 지분을 포기하고 다른 상속인 단독 소유로 하는 내용의 분할 협의를 한 경우, 이는 채권자의 공동담보를 감소시키는 행위이므로 사해행위에 해당합니다.

 다만, 모든 상속재산 분할 협의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채무자가 자신의 법정상속분보다 적은 재산을 취득했더라도, 그 재산분할 결과가 채무자의 구체적 상속분에 상당하는 정도에 미달하는 과소한 것이라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해행위로 볼 수 없습니다. 상속재산의 가액에서 피상속인의 채무, 장례비용 등을 공제한 순자산을 기준으로 채무자의 구체적 상속분을 산정하고, 채무자가 다른 상속인으로부터 받은 대가 등을 고려했을 때 결과적으로 자신의 구체적 상속분에 미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해행위로 보지 않습니다. 또한 생존 배우자의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한 합리적인 분배나 가족 내부 사정에 따른 합의인 경우에도 사해행위성을 부인하기도 합니다.

 반면 상속 포기는 상속재산 분할 협의와 달리 사해행위 취소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상속 포기는 상속인으로서의 지위 자체를 소멸시키는 행위로, 상속 개시 시점으로 소급하여 효력이 발생하여 상속을 포기한 자는 처음부터 상속인이 아니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상속 포기는 채무자의 재산을 처분하는 ‘재산권에 관한 법률행위’로 보지 않으며,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확립된 태도입니다.

 결론적으로 채무자가 상속재산 분할 협의를 통해 의도적으로 적은 상속분을 취득하려 한다면, 채권자는 구체적인 사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한 후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상속 포기에 대하여는 채권자 취소권을 행사할 수 없으나 실무적으로는 외관상 상속 포기로 보이더라도 실제로는 상속 재산 분할 협의를 통한 지분 포기인 경우가 많으므로 각자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 및 대처가 필요합니다.

 문의 062-224-6688

 문호세(법무법인 동명파트너스 변호사) lawmoonhs@naver.com

 Q)A friend who borrowed money and hasn't paid it back is set to receive an inheritance. However, he gave up his share. Is there a way to make him get back the share he gave up?

 A)When a debtor whose debts exceed their assets knowingly reduces their assets in a way that harms creditors, this is called a "fraudulent act". If an heir who owes debts acquires significantly less than their legal inheritance share through an inheritance division agreement, creditors can demand cancellation of this act as fraudulent.

 An inheritance division agreement is an act that converts inherited property, which is temporarily held in joint ownership among co-heirs upon the start of inheritance, into individual ownership by each heir. Since this is a legal act involving property rights, it can be subject to creditor revocation right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when a debtor already in an insolvent state gives up their inheritance rights or acquires less property than their legal inheritance share through an inheritance division agreement, thereby reducing the common security available to general creditors, such division agreements constitute fraudulent acts against creditors in principle.

 Particularly when an insolvent debtor gives up their share of inherited real estate (their only asset) and makes it the sole property of other heirs through a division agreement, this constitutes a fraudulent act as it reduces the common security available to creditors.

 However, not all inheritance division agreements constitute fraudulent acts. Even if a debtor acquires less property than their legal inheritance share, it cannot be considered fraudulent unless the division result is recognized as inadequate compared to the debtor's specific inheritance portion. If the debtor's specific inheritance sha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net assets (inheritance property value minus the deceased's debts, funeral expenses, etc.) and considering compensation received from other heirs, the result does not fall short of their specific inheritance share, it is not viewed as fraudulent.

Additionally, fraudulent nature may be denied in cases of reasonable distribution for a surviving spouse's retirement security or agreements based on internal family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 inheritance renunciation, unlike inheritance division agreements, is not subject to fraudulent act cancellation. Inheritance renunciation is an act that eliminates one's status as an heir entirely, with retroactive effect from the time inheritance began, meaning the person who renounced inheritance is considered never to have been an heir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inheritance renunciation is not viewed as a "legal act concerning property rights" that disposes of the debtor's assets, and cannot be subject to creditor revocation rights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s established position.

 In conclusion, if a debtor intentionally tries to acquire a small inheritance share through an inheritance division agreement, creditors can exercise creditor revocation rights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specific circumstances to determine if it constitutes a fraudulent act. While creditor revocation rights cannot be exercised against inheritance renunciation, in practice, what appears to be inheritance renunciation is often actually giving up shares through inheritance property division agreements, so accurate assessment and response to each situation is necessary. ☎062-224-6688

 Moon Ho-se (lawyer). lawmoonhs@naver.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