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목포·순천대 2027년 3월 목표·교육부 2030년 제시
“정부 설립 절차 신속히 진행 전방위 노력…조기 개교 온 힘”
전남 국립의대 개교가 성큼 다가온 듯하다가 다시 멀어지는 형국이다.
2027년 3월 개교로 동분서주한 전남도와 목포대·순천대는 교육부의 ‘머나 먼’ 로드맵 제시로 완급을 조절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교육부는 의대가 없는 지역 전남에 의대 개교 시점을 2030년 3월로 정해, 달아오른 지역 내 의대 설립 열기가 일순 냉각되고 있다.
전남도와 양 대학 측은 가능한 조기에 설립·개교를 위해 총력 대응할 것이란 입장이지만 성과는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는 분석이다.
3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는 최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워크숍에서 국정과제인 전남 국립의대 신설 관련 설명회를 가졌다.
교육부는 이 자리에서 2029년 4월(대입전형시행계획 변경 기한)까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의 예비인증을 취득한 후 2030년 3월 개교하는 일정을 제시했다.
예비인증은 개교 시점으로부터 1년 6개월, 늦어도 1년 3개월 전에 신청해야 하는 절차다.
올해 하반기에는 신설 의대 지역과 정원 규모를 포함한 의사 인력 양성 규모가 확정되는데, 이 결정은 정부와 의료계, 수요자, 학계가 참여하는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에서 이뤄진다.
내년 상반기에는 신설 여부와 지역, 규모를 고려해 정원 배정 계획이 마련되고, 내년 하반기에는 교원과 교육시설, 부속병원 확보 방안을 포함한 의대 설립 계획이 수립된다.
이 시기에 교육부는 국립대 교원 정원과 의대·부속병원 관련 시설·기자재 예산을 확보하고 복지부는 국립대병원 설립 기본계획 수립과 지원에 돌입한다.
이에 따르면 목포·순천대 통합의대는 2028년 8월 전후로 예비인증을 받아야 하는 셈이다.
이 같은 로드맵 속에서 의료계의 의대 설립 반대 목소리를 어떻게 잠재우느냐는 별개의 문제다.
한달 전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의대 설립을 국정과제로 채택했을 당시 지역 내에선 의대 설립이 2년 후면 가시화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으나 이제 5년이란 세월을 헤쳐가나야 하는 힘겨운 상황을 맞게 됐다.
최근까지 전남도와 도의회 ‘전남도 통합대 국립의대설립지원 특별위원회’, 목포대, 순천대는 머리를 맞대고 국립의대 설립 전략·협력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들은 △국회·정부 건의 △정책 논리 공동개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전략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이병운 순천대 총장과 송하철 목포대 총장은 2일 장흥에서 대학통합 공동추진위원회 제4차 회의를 열고 통합의대 설립과 대학통합 논의를 이어갔다.
양 대학은 이날 통합대의 거버넌스 체계, 교명 선정 절차와 시기, 통합추진 로드맵 등에 대한 실질적 협의를 진행했다.
특히 지역사회와 함께 최단기간 내 통합의대 설립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두 대학 총장은 “양 대학이 힘을 모아 성공적인 대학통합과 의대 설립이라는 공동 목표를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고 했다.
신준수 전남도 의대설립추진단장은 “교육부가 제시한 내용과 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했을 때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며 “의대 추진 일정을 간소화하고 속도를 내면 2030년보다 훨씬 더 앞당길 수 있고 2027년 개교도 가능하다. 대학 측과 협력해 교육부와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민호 도의회 의대설립지원 특별위원장은 “교육부의 개교 일정 안을 면밀히 살펴보겠다”며 “전남도와 더욱 긴밀히 협의해 정부 설득 등 전방위 활동을 펼쳐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