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한전KDN 공동 공적개발원조 공모 선정
‘재생에너지 모델’…지역기업 해외 진출 교두보

전남도와 세네갈 재생에너지청 공적개발원조(ODA)사업 협력 의향서 체결. 전남도 제공
전남도와 세네갈 재생에너지청 공적개발원조(ODA)사업 협력 의향서 체결. 전남도 제공

세네갈 농촌지역에 ‘전남형 에너지자립마을’이 조성된다.

10일 전남도에 따르면 한전KDN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내 첫 아프리카 에너지 프로젝트가 한국국제협력단(KOICA) 주관 공적개발원조(ODA) 공모에 선정됐다.

이번 에너지 프로젝트는 세네갈 농촌지역에 재생에너지 기반 자립마을을 조성하는 것으로 전남 재생에너지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와 한전KDN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을 핵심으로 현지 수요에 맞춘 관개 및 저장시설 인프라를 조성한다.

또 현지 주민 대상 운영·유지관리 교육과 한국국제협력단이 설립한 쟘나죠 기술학교와 연계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추진해 지속가능한 자립 모델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사업 로드맵 수립과 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파일럿사업과 본사업을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이 과정에서 최대 140억 원 규모의 국비 지원이 가능해져 사업의 실효성과 지속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방종진 전남도 국제협력지원관은 “세네갈 사업은 단순 인프라 지원을 넘어 전남형 재생에너지 모델을 해외 현장에 적용하는 첫 사례”라며 “한국국제협력단, 외교부 등과 긴밀히 협력해 아프리카 전력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하고 전남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이번 성과를 발판으로 에너지 분야를 넘어 농업·수산 등 지역 중점 산업과 연계한 ODA 과제를 지속 발굴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제개발협력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견인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지난해 ODA 공공협력사업에 선정된 케냐 식량 자급을 위한 스마트 농업 역량 강화, 키르기스스탄 전력계통 안정·효율화를 위한 분산전원 제어시스템 구축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