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인 명의 입장문 “항상 지역 전체 보고 일해”
동서부 22개 시군 아우르는 맞춤형 지원 계속
전남도는 도의회에서 제기한 ‘전남균형발전본부’ 신설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전남도는 21일 대변인 명의 입장문을 내고 “전남도는 전체 도민을 대변하는 기관”이라며 “어느 한쪽만이 아닌 22개 시군을 아우르고 어느 한 도민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 전체가 함께 잘 살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책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청사가 어디에 있든 전남도는 항상 전남 전체를 보고 일한다”며 “여수 광양항 북극항로 거점항만 조성은 도지사와 해양수산국이 먼저 필요성을 제기하고 적극 추진하고 있다. 반대로 목포 등에 개최 중인 국제수묵비엔날레는 동부청사 문화융성국에서 담당하며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의회는 지난 19일 본회의에서 ‘세수는 함께, 권한도 함께’라며 동서부 균형발전 필요성을 제기하며 (가칭)전남균형발전본부를 동부청사에 신설할 것을 제안했다.
도는 입장문에서 “2019년부터 시군별 100억 원 규모의 ‘전남형 균형발전 전략사업’을 재정이 열악한 시군부터 시작해서 22개 전 시군에 시행했다”며 “2023년부터는 이를 더욱 확대해 300억 원 규모의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무엇보다 2023년 동부청사 개청은 균형발전을 위해 내린 과감한 결단이었다”며 “동부권 주민 행정서비스 접근성 강화와 현장 중심 행정 구현을 위해 본부장을 2급으로 상향하고 조직 규모 역시 1국 13과 150여 명에서 3국 2담당관 13과 302명 규모로 대폭 확대했다”고 했다.
도는 “사무실이 어디에 있느냐는 균형발전의 핵심이 아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도민 전체를 위해 봉사하고 모두가 고르게 성장하는 균형발전을 위해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새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국립의과대학 유치,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대규모 SOC 확충, 여수·광양항 북극항로 거점항만 조성, COP33 유치 등의 현안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