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철강산업 편중…맞춤형 지원 사업 발굴
국비 보조율 확대·경영안정자금 융자 우대 등 절실
전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에 광양시를 ‘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공식 신청했다.
도는 1일 “광양시의 철강산업 편중으로 인한 지역경제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부 차원의 체계적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광양국가산단은 철강산업이 생산의 88.5%, 수출의 97.6%를 차지한다.
최근 2년간 글로벌 공급 과잉, 중국산 저가재 수입 증가, 내수 부진 등이 겹치며 철강 매출과 생산이 큰 폭으로 하락, 지역경제 전반에 위기감이 확산하고 있다.
올해 2분기 기준 광양국가산단 1차 금속산업 생산액은 2024년과 2023년 대비 각각 9.43%, 7.45% 감소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역시 주요 제품 매출이 감소하고 지역 내 협력 중소기업들의 매출·생산·영업이익도 동반 하락하고 있다.
청년층 인구 유출, 상권 침체, 신규채용 감소 등 지역사회 전반의 위축도 빠르게 진행 중이며 광양읍 주요 상권 공실률이 17.2%로 전국 평균 10.2%를 크게 웃돌고 있다.
전남도는 이번 지정 신청과 함께 2026~2030년 5년간 총 3871억 원 규모의 지역 맞춤형 지원사업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철강 R&D 및 제조혁신 기술개발 △고용 안정 및 인력양성 지원 △중소·중견기업 금융지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 △노후 산단 재생 및 AX지원센터 구축 등이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철강산업은 국가기간산업인 만큼 광양시의 위기는 곧 국가 경쟁력의 위기”라며 “지역산업 회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이 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국비 보조율 상향, 중소기업 대상 최대 10억 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 우대, 보통교부세 가산,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등 정부 재정 지원 폭이 확대된다.
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여부는 이달 중 산업부 현지실사, 11월 중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