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29일까지 130개 릴레이 수업
토크콘서트·콘퍼런스·체험 등 다채
전남 교사들이 주도하는 유·초·중등 ‘2030수업’ 축제가 열린다.
이번 수업 축제는 수업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글로컬 교육 2030교실의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14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13일 시작, 다음 달 29일까지 ‘전남 수업 대전환, 2030교실에서 길을 찾다’란 주제로 진행하는 이번 축제는 ‘2030수업나눔’과 ‘2030수업한마당’으로 나뉜다.
2030수업나눔은 전남 전역의 2030교실에서 펼쳐지는 릴레이형 공개수업 행사다. 세계시민, 디지털, 지역연계, 생태전환 등 4개 주제를 중심으로 총 130개 수업이 이어진다.
특히 여수화양초의 ‘2030학생작가교실’에서 학생들이 1년 동안 제작한 그림책을 친구들과 나누며 작가로서의 성장을 경험한다.
광양제철고의 일본어 미래교실 ‘한일 생태 토론 프로젝트’는 일본 사가북고교와 온라인으로 연결해 언어와 문화를 넘나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으로 운영한다.
2030수업한마당은 수업 시연, 공연, 콘퍼런스, 체험 부스 등으로 구성돼 교육공동체가 함께 어우러지는 전남형 수업 축제의 장으로 유·초등과 중등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유‧초등은 11월 22일 순천만생태문화교육, 중등은 11월 29일 순천삼산중에서 열리며 교원, 학생, 학부모, 교육전문직원 등이 한자리에 모여 수업 대전환의 내용을 공유한다.
유·초등 수업한마당은 여는 마당, 교실 마당, 교육과정‧수업혁신 마당으로 구성되며 교직원과 학생, 학부모가 함께하는 공연과 교육 뮤지컬을 통해 교육공동체가 하나 되는 무대를 선보인다.
중등 수업한마당에서는 교과별 실시간 수업 시연을 통해 학생 참여형 수업 사례를 공유하고 교사들이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또 독일, 일본, 싱가포르, 미국 등과 연계한 국제교육교류 수업도 발표한다.
아울러 독서인문‧에듀테크 체험 마당에서는 생성형 AI 기반 수업, 디지털 북 제작, 책 기반 토론 수업 등 미래형 수업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김대중 교육감은 “이번 축제를 통해 교실 속 수업의 변화를 실천하고 교사·학생·학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수업문화를 확산해 나가겠다”며 “전남교육이 K-교육의 중심으로 나아가도록 2030교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수업 대전환의 길을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