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수사업에 주목하다

 공직사회가 엉망이 되었다. ‘나라 잘 되는 데는 열 충신으로도 모자라지만 나라 망치는 것은 혼군(昏君)이나 간신(奸臣) 하나면 충분하다’는 옛말이 괜한 말이 아님을 실감하고 있다.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왕조체제를 벗어난 지가 10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그 때보다 못한 일들이 나라와 공직사회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의 기강이 무너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망국의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길 밖에 없다. 깨어있는 시민들이 정신 바짝 차리고 이 난국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서 역대 중국의 청백리들을 소개하여 반면교사로 삼고자 한다. 많은 격려와 질정을 바랄 뿐이다.

 글쓴이 김영수(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는 지난 30년 넘게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그가 남긴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 3천 년 통사 《사기(史記)》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다. 그 동안 150차례 이상 중국의 역사 현장을 탐방했으며, 많은 저역서를 출간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간신 3부작’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 《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 《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 등이 있다. (편집자주)

예관은 청렴과 능력을 함께 갖춘 바람직한 청백리였다. 여기에 권위적인 통치자와의 관계도 무난하게 잘 이끄는 지혜까지 겸비했다. 사진은 그의 고향인 산동성 광요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예관의 상이다.
예관은 청렴과 능력을 함께 갖춘 바람직한 청백리였다. 여기에 권위적인 통치자와의 관계도 무난하게 잘 이끄는 지혜까지 겸비했다. 사진은 그의 고향인 산동성 광요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예관의 상이다.

 예관(兒寬)은 도성 주위의 경기(京畿) 지역을 다스리는 중책을 맡았다. 그러나 그는 결코 거드름을 피우거나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백성들의 생활과 고충을 잘 살펴 어진 정치와 교화에 힘을 썼다. 다른 일에 신경 쓰지 않고 농사와 누에치기에 전념할 수 있게 배려를 아끼지 않았다. 당시 좌내사 예관이 다스리던 지역은 빈부의 차이가 심한데다 농번기나 보릿고개 때 일반 백성들의 생산 활동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예관은 백성들에게 돈이나 식량 따위를 빌려주는 한편 세금을 거두지 않았다. 당시 해마다 전쟁이 있어 세금 부담이 무거웠고, 예관 지역은 특히 심했다. 사실 봉건국가에서 이런 방법은 당연히 허용되지 않았다. 그 결과 관리들의 실적을 심사할 때 좌내사 예관은 최하위였다. 당시 관리들의 실적 심사와 그 결과에 따르면 이런 관리는 파면이었다.

 이런 상황을 알게 된 백성들은 예관이 다른 곳으로 갈 것이 두려워 앞을 다투어 세금을 내기 시작했다. 넉넉한 큰 집안들은 수레에 싣고 왔고, 일반 농민들은 직접 지고 왔다. 이렇게 식량을 운반하는 행렬이 끊이질 않았다. 이렇게 해서 납부한 세금(식량)은 원래 갚아야 할 액수를 훌쩍 넘었고, 좌내사 예관의 실적은 최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말수가 적고 겸손한 예관은 자신의 지혜와 행정 능력으로 백성을 위해 일을 처리하여 지지를 얻었고, 무제는 더욱 더 그를 신임하게 되었다.

 예관은 평소에도 허름하고 소박한 옷에 보통 백성들과 다름 없는 식사를 했으며, 길을 갈 때도 한 쪽으로 비켜 다녔다. 이는 힘들게 공부했던 젊은 날의 가나난 서생과 다를 바 없었다. 인재들을 보면 몸을 낮추어 대했고, 유능한 관리들을 기르는데 힘을 쏟았다. 백성들은 그를 믿었고, 부하 관리들은 그를 존경했다. 이렇게 예관은 좌내사 경내의 관리와 백성들 모두로부터 존경을 받는 공직직가 되었다.

 예관의 본격적인 치적(治績)

 물과 물길을 다스려 도움을 주는 수리(水利)는 농업의 생명줄이다. 고대 관중 지역의 발달된 수리시설과 농업 생산은 명성이 높았고 한나라 때 최고조에 이르렀다. 육보거(六輔渠)는 그런 수리시설의 하나였다. 좌내사 경내에는 일찍이 진나라 때 건설한 정국거(鄭國渠)가 있었다.(이 정국거에 대해서는 청백리 정국 편에서 상세히 알아 본 바 있다.) 그러나 정국거 연안의 높은 지대는 애당초 물을 댈 수가 없었다. 당연히 생산량이 떨어지는 등 농업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반면 좌내사 지역의 세금은 일반적으로 다른 곳보다 높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수리 문제의 해결이 급선무였다. 나라의 경제 수입과 연계된 문제일 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의 좋고 나쁨과 농민의 생활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었다.

 기원전 111년, 예관은 경내의 백성들을 조직하여 육보거를 개착하기 시작했다. 육보거는 대략 지금의 경양현 서북이고, 정국거를 따라 여섯 길의 보조 수로를 증축하여 정국거로는 물을 대지 못하는 높은 지대에 물을 대게 했다. 육보거의 완성으로 경내의 백성들은 농업에 큰 도움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가뭄과 기근에도 대비할 수 있게 되어 정국거의 효용 가치는 크게 개선되었다. 좌내사 경내의 농업 생산 역시 눈에 띠게 향상되었다. 예관이 수리사업은 나아가 이후 다양한 수리 사업을 이끄는 길잡이 역할을 해냈고, 특히 육보거는 당나라 때까지 그 역할을 충분히 해냈다.

중국 수리사업의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정국거 원류의 모습이다. 예관은 이 수리시설을 증축하여 농업 생산을 크게 높였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더 주목할 사실이 있다. 다름 아닌 예관이 중국 역사 처음으로 수리법(水利法)을 제정했다는 것이다. 《한서》에는 “수령(水令)을 제정하여 논밭에 물을 댔다”는 기록이 있다. 당나라 학자 안사고(○師古)는 《한서》에 주석을 달면서 “물을 사용하기 위한 법을 만들어 모두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했다”고 했다. 이 법령은 육보거가 힘 있는 자들에 의해 독점되지 않도록 하고 백성을 이익을 지킬 수 있게 보증했다. 이렇게 보면 예관이 백성의 세금을 거두지 않아 파면 당할 처지에 놓였을 때 백성들이 나서 그를 지킨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기원전 110년까지 예관은 좌내사 자리에 3년을 복무했다. 이 짧은 3년 동안 그는 백성을 위해 많은 일을 해냈다. 기초 산업인 농업과 누에치기 장려를 중심으로 수리사업, 교화사업, 너그러운 법 집행 등은 그 당시의 일반적인 풍조였던 혹독하고 각박했던 관리들의 통치와는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역법을 개정과 공직 생활의 마무리

 기원전 111년, 무제는 태산(泰山)에서 하늘과 땅에 올리는 봉선제(封禪祭)를 거행하기로 했다. 그 절차를 놓고 유생들과 관료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다. 예관도 좌내사로 이 논의에 참여했다. 예관은 무제의 마음을 잘 알고 있었다. 이 큰 행사에 따른 의례와 절차 및 비용 등이 문제였다. 논쟁은 끝나지 않았고, 화가 난 무제는 관련자들을 이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도록 배제했다.(사마천의 아버지 태사령 사마담도 배제되었고, 그 충격으로 화병이 나서 세상을 떠났다.) 이런 상황에서 예관은 절차의 간소화와 비용 절감 등을 명분으로 내세워 황제를 설득했고, 무제는 이를 받아들였다. 예관의 지혜가 빛나는 대목이었다.

 기원전 110년 무제는 예관을 어사대부(御史大夫)로 승진시켰다. 어사대부는 승상급의 고위직이자 문무백관을 감찰하고 탄핵할 수 있는, 권한으로 보자면 승상을 뛰어넘는 자리였다. 어사대부에 오른 예관은 유가의 이론을 실천으로 옮기는 한편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는 일을 주관했다. 이전까지는 한 해의 시작이 10월인 ‘전욱력(○頊曆)’을 사용했는데 농사 시기와 천문현상과 맞지 않는 폐단이 적지 않았다.

 무제는 학문과 능력을 겸비한 예관에게 새로운 역법 제정을 주도하게 했다. 예관은 먼저 과학자와 학자들을 모았다. 여기에는 사마천을 비롯하여 낙하굉(落下○)·등평(鄧平) 등과 같은 당대 최고의 학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기존의 달력이 갖는 오류와 모순을 조정하여 농사에 편리한 24절기와 윤달을 포함한 1월로 시작되는 새로운 달력 ‘태초력’을 편찬했다. 이는 중국 역사에서 한 획을 긋는 의미 있는 일이었다.

 예관은 어사대부로 8년을 일했다. 이는 무제 통치기에 활동한 고위 관료로는 보기 드문 장기 근무였다. 뿐만 아니라 혹리들의 가혹한 통치가 주류를 이룬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선정과 인정 및 실질적인 업적은 조정 안팎에 상당한 영향을 남겼다. 농업 발전, 수리 사업, 세금 면제, 빈민 구제 등은 백성들로부터 크게 환영을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제는 대외 확장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로써 유가에서 내세운 대일통의 중앙집권화된 전례 없는 강력한 봉건국가가 형성되었다. 예관은 이 과정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해냈다. 기원전 103년 예관은 어사대부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났다. 명실상부 예관은 죽는 날까지 있는 힘을 다하다 떠난 청백리였다.

 김영수 (사)사마천학회 이사장

 본문 한자 속 ‘○’표시는 신문제작시스템에 없는 글자임을 표시합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