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의 아픔, 이제는 대한민국이 함께 합니다’ 주제
김민석 총리 등 800여명 참석…“국가폭력 막아야”
제77주기 여수·순천 10·19사건 합동추념식이 19일 구례 지리산역사문화관에서 ‘그날의 아픔, 이제는 대한민국이 함께 합니다’란 주제로 엄수됐다.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추념식은 여순사건 7년의 기간과 77주년의 의미를 담아 평화의 종 7회 타종과 함께 묵념으로 시작됐으며 경과보고 영상, 헌화·분향, 추념사, 유족 사연 낭독, 추모공연 등으로 진행됐다.
추념식에는 박선호 여순항쟁유족총연합 상임대표를 비롯한 유족, 김민석 총리, 김영록 전남지사,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주요 인사와 주민 800여 명이 참석했다.
유족 사연으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77년 만에 희생자와 아들의 만남을 전했다. 영상이 상영되자 유족과 참석자들은 깊은 감동 속에 눈시울을 붉혔다.
추모곡으로는 지리산에서 1000여 명이 희생된 구례 산동면의 비극을 추모한 ‘산동애가’를 창극으로 구현해 지역의 아픔을 예술로 치유하는 자리가 됐다.
이어진 평화 메시지 낭독에서 철학자 도올 김용옥 선생이 “평화는 동시에 비극의 가치를 보존하고 있다”며 “여순반란을 여순민중항쟁으로 새롭게 인식하는 오늘에 이르러서야 우리는 빛의 혁명을 소리치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추념식은 특별법 제정 이후 네 번째 정부 지원 행사로 국가 차원의 공식 추모와 화해의 의지를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SNS를 통해 “다시는 국가폭력으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대통령으로서 엄중한 책임 의식을 갖고 이를 막기 위한 모든 조치를 다 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정부대표 추념사에서 “정부는 여순사건이 온전한 진실로 드러날 때까지 진상조사기획단을 통해 진실을 낱낱이 규명하겠다”며 “희생자와 유가족분들에 대한 심사도 기한에 마무리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여순사건이 대한민국 최초의 계엄령으로 이어진 국가폭력의 시작이었다”며 “진실규명은 단지 과거를 바로잡는 일이 아니라 국민이 국가의 주인임을 확인하고 다시는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미래를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