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연구원,  RE100 산업단지 조성 전략 제시
재생에너지 잠재력 전국 1위...글로벌 공급망 허브 도약 기대

전용망 활용-PPA 적용 RE100 산단. 자료: 김준영, 2025, 신규산단 지정 및 조성 관련 간담회 발표 자료(RE100 산단 유치 및 조성 전략)
전용망 활용-PPA 적용 RE100 산단. 자료: 김준영, 2025, 신규산단 지정 및 조성 관련 간담회 발표 자료(RE100 산단 유치 및 조성 전략)

전남이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바탕으로 RE100 산업단지 조성에 본격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남연구원은 21일 발표한 이슈리포트를 통해 “전남의 재생에너지 자산을 활용한 RE100 산업단지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라며 구체적인 조성 방안을 제시했다. RE100이란 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글로벌 캠페인으로 현재는 수출·투자·산업 입지의 필수 요건으로 작동하고 있다.

▶전국 최대 재생에너지 잠재력 보유
이슈리포트에 따르면 전남은 풍력 167.5GW와 태양광 276.7GW를 합쳐 총 444.2GW의 재생에너지 설비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어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력 자립률도 197.9%에 달한다.
특히 신안 해상풍력 8.2GW는 세계 최대 단일 프로젝트로, 전남은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집합지로 평가받고 있다. 박미숙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과거 흑산도 ‘자산어보’가 해양 자원의 집대성이었다면, 오늘날 전남은 에너지 전환의 보고”라고 강조했다.
전남은 그간 나주 에너지 산단 지정, 분산특구 후보지 선정, 523MW 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사업 확정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해남군은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으며, 나주 에너지 국가산업단지는 지난 7월 조성 사업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RE100 수요기업이 실제 투자로 이어지기에는 기반 인프라의 안정성과 제도적 신뢰 부족이 여전히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존·신규 산단 맞춤형 전환 전략 제시
보고서는 기존 산단과 신규 산단으로 나눠 RE100 전환 전략을 제시했다.
기존 산단은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구매계약(PPA), 공동구매 플랫폼, 분산형 자급 전력 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공공 부문 선도 모델을 마련해 전국 확산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규 산단은 설계 단계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가상발전소(VPP) 등 계통 안정화 수단을 반영하고, 데이터센터·반도체 등 전력 다소비 첨단산업 수요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의 RE100 이행은 단기적으로 녹색프리미엄제와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등 기존 제도를 활용하고, 중기적으로 직접·장기 PPA 확대를 통한 가격 안정성을 확보하며, 장기적으로 대규모 ESS·VPP 기반 계통 연계를 강화하는 단계적 접근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국가적 신뢰도를 보증하는 ‘RE100 산단 인증’ 체계 마련과 그에 따른 맞춤형 세제·재정 인센티브 부여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또한 전남 서남권을 에너지 혁신성장벨트로 육성하고, 해남 솔라시도를 중심으로 RE100 산업단지, AI 데이터센터, 해상풍력 산업 클러스터를 통합한 에너지 혁신 테스트베드를 조성할 것을 제안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분의 90% 이상을 재생에너지가 충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구글, 애플, BMW, 삼성전자 등 440여 개 글로벌 기업이 RE100 캠페인에 가입했으며, 이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이탈과 수출 경쟁력 저하라는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정부는 산업부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RE100 산업단지 및 에너지 신도시 조성 지원에 관한 특별법(가칭)’ 제정을 추진 중이다.
박 부연구위원은 “RE100 산단 조성은 단순한 친환경 전환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 지도를 새롭게 그리는 성장의 기회”라며 “전남의 재생에너지 생산 역량이 일자리 창출과 첨단 기업 유치로 연결되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해윤 기자 nab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