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첨단기술 시험장으로” 2조 원대 국책사업
실증·세제 혜택·인력 양성 아우른 경제계 제안 더해
광주시가 인공지능(AI)·모빌리티 기술을 도시에 전면 적용하는 ‘AI 모빌리티 신도시’ 밑그림 그리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광주를 거대한 ‘첨단기술 시험장’으로 탈바꿈할 목표인 모빌리티 신도시는 오는 2030년까지 중앙정부와 조성하는 약 2조 원 규모의 대형 국책 사업이다.
막대한 예산을 들일 신도시 구상은 이재명 정부가 광주 국정과제로 채택한 사업인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와 함께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혁신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기본 축으로 삼고 있다.
최근에는 실차 기반 실증·세제 혜택·인력 양성 등을 아우르는 광주 경제계 제안까지 더해졌다. AI컴퓨팅센터 유치 실패를 딛고, 모빌리티 신도시 구상을 실현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23일 광주시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도심 전체를 자율주행차·드론·로봇·도심항공교통(UAM) 사용이 일상화된 ‘미래형 복합도시(AI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중앙정부에 제시한 상태다. 신도시 성공을 이끌어 낼 사업의 큰 줄기는 2개 사업이다.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국토교통부)’와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혁신 클러스터 조성사업(산업통상부)’이다.
먼저 총 사업비 1조 5000억 원 규모인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는 미래형 도시로 나아갈 ‘첨단 인프라’ 구축이 목적이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가 도심에서 실제 운행 가능한지 실증할 수 있는 교통체계를 먼저 만들고, 순차적으로 시민 안전이 확보된 기술과 서비스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미래형 신도시를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광주시는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요소로 △차세대 자율주행차 실증·실운행이 가능토록 한 스마트 도로와 교통 인프라 설계 △차세대 모빌리티 실증환경 디자인 △광역 단위 규제 완화하는 메가샌드박스 추진(인센티브 제도 마련 등)을 내세우고 있다.
즉, 인프라와 규제 혁신이 동시에 이뤄지는 플랫폼(테스트베드)이 있어야 신도시 구현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 이에 광주시 인공지능실 미래차산업과는 이르면 다음주부터 국토부와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사전기획 연구용역’을 공동 진행할 예정이다.
사전기획 연구용역이란, 사업을 실현시킬 마스터플랜(기본 계획)을 세우기 전 실시하는 용역이다. 이와 함께 연말 2026년도 정부 예산이 확정되면 국비 10억 원을 추가 투입해 추가 용역과 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사업 형태가 AI컴퓨팅센터처럼 민간이 참여하는 공모형 방식이 아니어서 광주시의 관련 사업 진행 의지가 강력하다.
시범도시 목표가 인프라 구축이라면, 또 다른 사업인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은 기술·기업 지원·인력 양성이 목표다.
현재까지는 사업 확정 미정이지만, 산자부가 광주와 공동 사업에 나서면 광주지역 부품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부품 개발부터 실증, 인증까지 지원받고 여기에 연구기관까지 한데 모여 미래차 기술 역량을 높일 수 있다.
계획상으로는 2030년까지 약 1000억 원 투입이 목표다.
현재 광주에는 자율주행 관련 지역 부품기업 대기업이 들어서 있어 잠재력이 풍부하다.
광주에는 특화 분야별로 △자율주행 실증 거점인 미래차 국가산단(100만 평) △자율주행 시험 인증 가능한 빛그린국가산단(56만 평) △자율주행 부품 생산이 목표인 진곡일반산단(58만 평)을 보유하고 있다.
3곳의 산단은 자율차 부품 센서와 통신기술 개발을 특화시키고, 앵커기업과 부품기업의 협력을 유기적으로 조성하는 ‘미래차소부장 특화단지’로 묶인다.
현재까지 투자 의향을 밝힌 기업은 70개사로, 대표적인 앵커기업으로는 DH오토웨어(자율주행차 전장부품), LG이노텍(자율주행차 자동차용 라이다), 한국알프스(자율주행차 자동차용 카메라)가 있다.
여기에 더해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은 해당 사업을 고도화하기 위한 사업을 제안한 상태다.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 전주기를 챙기고, AI·자율주행·SDV(소프트웨어 설계 중심 자동차) 인력들도 함께 양성하는 방안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본보와 통화에서 “미래형 신도시는 AI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등 여러 관련 기업과 기술이 집적해야 성공이 가능하다. 그런 맥락에서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이 최근 제안한 사업들도 국정과제와 크게 동떨어져 있지 않다”며 “여러 유관기관과 함께 융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문석 기자 mu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