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조사 원자재·인건비…수익성 악화
영업수지 적자(32%)가 흑자(27%) 웃돌아

 국내 제조기업들의 올해 경영 실적 전망이 코로나19 초기보다도 어둡게 나타났다. 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에 더해 원자재·인건비 상승 등이 겹치면서 경영 전망을 짓누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전국 제조기업 2275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요인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5.0%가 “올해 영업이익이 연초 목표에 미달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 진행된 조사 중 가장 부정적인 수준이다.

 목표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본 기업은 20.4%에 그쳤고, 초과 달성을 예상한 곳은 4.6%에 불과했다. 특히 올해 영업이익 적자를 예상한 기업(32.1%)이 흑자를 예상한 기업(27.0%)보다 많았다. 지난해 흑자였지만 올해 적자로 돌아선 기업 비중도 7.1%로,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는 응답(3.1%)의 두 배를 넘었다.

 제조업계를 짓누르는 가장 큰 요인은 침체된 시장 여건이다. 내수는 소비 회복이 지연되고 건설경기 부진이 이어졌으며, 수출 역시 반도체를 제외하면 1~9월 누적 기준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비용 압박도 심화되고 있다. 기업들이 꼽은 주요 애로 요인은 ‘원자재가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이었다. 이어 ‘관세 증가’(8.9%), ‘이자 등 금융비용’(8.0%)이 뒤를 이었다. 구리·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가격 상승과 인건비 증가, 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기업들은 경영 여건의 개선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절반(50.5%)은 “법·제도 부담이 변함없다”고 답했으며, 44.3%는 “부담이 오히려 커졌다”고 했다. 부담이 줄었다는 응답은 5.2%에 불과했다.

 지역 경기 상황도 비슷하다. “악화됐다”는 응답이 49.4%로 “변화 없다”(40.9%)보다 많았다. 경기 부진이 이어지며 지역 경제 전반의 활력도 떨어진 셈이다.

 정기국회의 본격적인 입법논의를 앞둔 상황에서 제조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법인세 인상 등 기업비용 증가(50.5%)’였다. 상법·공정거래법 등과 같은 ‘기업제도 규제’가 더욱 강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기업도 40.6%로 많았으며, ‘노사관계 부담 증대’(38.6%)를 우려사항으로 꼽은 기업도 적지 않았다. 이밖에도 ‘입지규제와 환경규제 강화’(21.6%), ‘정년연장 등 고용부담 가중’(13.5%) 등을 걱정하는 답변도 있었다.

 조사 결과와 관련 대한상의는 기업 실적이 악화되는 가운데, 비용을 가중시키는 입법 추진은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황해윤 기자 nab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