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평 광주숲’ 정책토론회 방공포대 이전·복원 논의
“복원은 역사적 책임”…공공성·생태 가치 한목소리
광주의 상징 무등산 정상부는 1966년부터 주둔 중인 방공포대 이전이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와 엮이면서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2015년 군부대 이전 협약이 체결됐지만, 군공항 이전 논의가 지연되며 정상부 복원은 여전히 미뤄진 상태다. 무등산 정상부를 온전히 시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23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백만평 광주숲 제5차 정책토론회’는 60여 년간 군사시설로 묶여 있던 무등산 정상부의 군부대 이전과 생태 복원, “이번에는 정말 가능할까?”를 화두로 군공항 이전 지연에 따른 해법과 복원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최윤호 백두대간숲연구소장이 발제를 맡았고, 정전국 광주시 군공항이전추진단장, 김도웅 무등산국립공원 보전과장, 임은채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첫 발표에 나선 정전국 군공항이전추진단장은 “무등산은 국내 18개 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정상에 군부대가 주둔한 곳”이라며 “정상부 완전한 개방과 광주시민의 오랜 염원이자 세계적 유산으로서의 복원을 위해 방공포대 이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무기 체계 현대화에 따라 방공포대 재배치가 가능하다”며 “현재 추진 중인 군공항 이전 사업과 별도로 방공포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전 사업비는 전액 국비로, 환경적·사회적·경제적 가치 모두에서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정 단장은 특히 “57년 만에 인왕봉이 시민에게 돌아왔지만, 천왕봉과 지왕봉은 여전히 닫혀 있다”며 “완전한 정상 개방이 이루어질 때 진정한 무등산 복원이 완성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군부대 이전과 함께 복원 방향을 구체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도웅 무등산국립공원 보전과장은 “무등산은 수달·담비 등 멸종위기종 29종이 서식하는 생태 보고이자, 천왕봉과 주상절리대가 어우러진 경관의 핵심”이라며 “군부대 이전 이후에는 자연생태계와 경관 복원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과장은 “군사시설 이전 이후 이용수요 증가로 인한 환경 훼손이 우려된다”며 “탐방 시기·동선·탐방객 수 제한 등 과학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복원 계획과 이용 계획을 함께 수립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무등산 정상부는 단기간의 개발이 아닌 장기적 보전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군부대 이전이 곧 생태 회복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등산의 미래는 개발이 아닌 보전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임은채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은 “무등산 정상부의 온전한 회복은 환경적 과제이자 시민 주권의 문제”라며 “군부대 이전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역사적 책임”이라고 말했다.
그는 “천왕봉의 고도가 군사시설 공사로 4m나 깎였다”며 “이제는 복원을 통해 본래의 자연성을 회복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또 “케이블카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은 생태계 훼손과 지질유산 가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며 “무등산의 미래는 개발이 아니라 보전에 있다”고 밝혔다.
임 부장은 “국가 차원의 전담기구 설치와 ‘무등산 정상복원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며 “군부대 이전과 함께 정밀 환경진단 및 과학적 복원계획을 병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무등산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서 후손에게 물려줄 자연 유산”이라며 “지금이야말로 시민·정부·국방부가 함께 실천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백만평광주숲추진위원회는 군공항 이전 이후 종전부지 250만 평 중 100만 평을 시민의 숲으로 조성하자는 취지 아래, 2023년 11월 발대식을 시작으로 정책토론회와 세미나를 지속해오고 있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