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의,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요인 조사 결과 발표

 광주·전남 제조업체 10곳 중 7곳은 올해 실적 목표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광주상공회의소(회장 한상원)는 지역 제조업체의 최근 경영실적 전망과 주요 애로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광주·전남 소재 제조기업 13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요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기업의 매출·영업이익 전망, 경영애로 요인, 생산·조직 관리상 애로요인, 정기국회 기간 중 기업이 우려하거나 필요한 입법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70.1%가 올해 연간 매출이 목표를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목표 수준 달성’은 24.6%, ‘초과 달성’은 5.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증대의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는 ‘내수시장 침체’(57.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출시장 경기 둔화’(23.9%), ‘시장 경쟁상황 심화’(11.2%)가 뒤를 이었다. 이는 내수 부진과 글로벌 경기 둔화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지역 제조업의 매출 기반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영업이익 전망 역시 70.9%의 기업이 목표치 미달을 예상했으며, 영업수지 실적은 47.0%가 ‘손익분기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답변해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임을 시사했다.

 수익성을 악화시킨 가장 큰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상승’(41.8%), ‘인건비 상승’(20.1%), ‘금융비용 증가’(15.7%) 등으로 조사됐다.

 생산 및 조직 관리 측면에서도 ‘기업 자금 사정’(39.6%), ‘인력수급’(28.4%) 등이 주요 애로로 꼽혔으며, 자금 유동성과 인력 확보 문제가 모두 기업의 경영안정성을 위협하는 핵심 요인으로 확인됐다.

 기업이 가장 우려하는 입법 분야(복수응답)로는 ‘법인세 등 기업비용 증가’(56.7%), ‘상법·공법거래법 등 규제 강화’(53.7%), ‘노사관계 부담 증대’(33.6%)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추가적인 제도와 비용 부담이 가중될 경우 기업활동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기업성장과 경영실적 개선(복수응답)을 위해 ‘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 (58.2%)과 ‘고용·노동시장 유연화’(52.2%), ‘위기산업 사업재편 등 지원’ (23.1%) 등의 입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았다.

 황해윤 기자 nab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