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위니아 그룹 박영우 전 회장이 임금·퇴직금 체불 혐의로 국감에 소환돼 여야의원들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대유위니아 사태는 기업이 창출한 가치가 과연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그리고 기업의 위기 속에서 고통 받는 이들은 누가 돌봐야 하는 가에 대한 근본적 물음을 던지고 있다.
대유위니아 계열사들의 체불 임금및 퇴직금은 2024년 8월 기준으로 1630억 원에 달한다. 그러니 임금체불 피해자들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박전 회장 일가는 주력 회사인 대유에이텍의 보유 지분을 늘려 큰 파문을 일으켰다. 위기 속에서도 기업주 자신만을 지키려는 몰염치한 행동에 헌신했던 노동자들의 분노 역시 치솟고 있다.
박회장 일가는 고의적인 파산으로 체불액 변제를 회피하고 있다는 설까지 제기되고 있다. 회생절차 개시전 거액의 회사 자금을 빼돌린 것은 아닌지 하는 의심도 받고 있다. 비록 해당 건에 대해서 법원이 박 전 회장이 위니아에 빌려준 자금을 돌려받은 것으로 판단해 무죄를 선고했으나 이런 일련의 과정들은 기업 경영 투명성과 기업주의 도덕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대유 사태는 노동자들의 희생을 당연시하고 기업주는 법적 테두리 안에서 보호 받는 절망적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런 기업가의 모럴 해저드가 통한다면 기업가는 배불리고 노동자만 희생당하는 못된 문화 근절은 요원하다. 대유 사태는 임금 체불에 대해서만큼은 끝까지 추적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 사회적 정서다. 그렇지 않으면 기업가와 종업원 사이의 기울어진 운동장은 바로잡히지 않는다.
대유위니아 사태는 특정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다. 오늘날 기업은 단순히 이윤만 추구하는 존재가 아니다. 최소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 대유 임금 체불 문제는 국감때면 반짝하다 사라지곤 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달라야 한다. 우선은 사람부터 살려 놓고 볼일이다. 박씨 일가의 재산을 끝까지 추적해 정의를 세웠으면 하는 바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