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국가AI 컴퓨팅센터 유치 실패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통령 공약이라는 든든한 뒷배경에다 한발 앞선 각종 AI 인프라까지 갖추고 있었으니 유치 실패의 충격은 크다. 그러나 좌절을 딛고 장기적 관점에서 실리를 챙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향후 광주시 행보가 주목된다.
최근 김용범 실장과 하정우 수석이 직접 나서 광주 달래기에 나섰지만 싸늘한 반응이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 센터 부재를 넘어, 광주의 AI 중심 도시 성장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 국가AI컴퓨팅센터를 기반으로 AI 중심도시로서 위상을 굳히려던 광주시 계획은 철저히 어그러졌다. 광주가 잘못 했다기보다는 주변 여건이 달라진 것을 간파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정치논리로 접근한 것이 패착이었다.
이제 와서 누구를 탓한들 뭐하겠는가. 그렇다고 AI 산업 전체가 무너진 것은 아니다. 그동안 광주시가 AI 산업을 위해 해놓은 일이 많다. 광주가 양성한 인력과 AI생태계도 과소평가할 수 없다. 그러니 비록 AI 컴퓨팅 센터라는 국가적 인프라를 손에 넣지는 못했다 해도 모든 것이 무너진 것처럼 행동하는 것도 곤란하다.
AI 산업의 핵심은 ‘인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혁신 생태계’다. 광주가 구축 했던 GPU 사업과 AI 2단계, AI 모빌리티 신도시 사업을 하려면 더 많은 GPU가 필요해 컴퓨팅 센터 유치는 반드시 필요했다. 하지만 좌절한 만큼 그에 필적할 만한 정부 지원을 얻어내는 것도 지혜다. 국가 컴퓨팅 센터에 대응을 할 만한 인력양성과 혁신 생태계에서 컴퓨터 센터 못지않은 정부지원을 이끌어냈으면 한다.
이제는 큰 틀에서 봐야 한다. AI산업상 경계는 무의미하다. 경계가 무너진 상황에서 지나치게 우리 동네만 외쳐서는 곤란하다. 광주는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미래를 내다보는 전략적 수정이 필요하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협력을 통해 ‘실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그런 이유로 광주와 전남의 상생이 훤씬 중요해졌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는 법, 광주시의 분발을 촉구한다, 아직 게임은 끝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