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 전국 4곳 최종 선정
전남 데이터센터 유치…지역 내 생산·소비

전남도청. 전남도 제공
전남도청. 전남도 제공

전남 등 4곳이 국내 첫 분산에너지 특구가 됐다.

5일 전남도와 기후에너지환경부 등에 따르면 이날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후보지 7곳 사업을 심의하고 특구로 전남·제주·부산·경기 의왕 4곳을 최종 지정했다.

분산특구는 원거리 송전망을 이용하는 대신 수요지역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곳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지산지소형 시스템이다.

전기사업법상 발전·판매 겸업 금지의 예외로 분산에너지 발전 사업자와 전기사용자 간 전력 직접거래가 허용되며 규제 특례가 적용돼 다양한 요금제와 전력 신산업 모델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 5월 분산특구 후보지로 7곳을 선정한 바 있다. 이날 에너지위원회에서 포항·울산·서산 등 3곳이 탈락했다.

전남은 앞으로 태양광 발전소가 밀집한 해남·영암 지역에 AI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지역 내 생산-소비를 실현하고 AI 기술로 전력 생산-소비를 최적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산업단지, 대학교 등에 다양하게 실증한다.

또 재생에너지 99.6%가 위치한 배전망에 ESS를 보급해 재생에너지 접속 대기 물량을 최소화하면서 배전망 운영을 효율화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제주는 풍력 등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해 피투에이치(P2H), 가상발전소(VPP), 브이투지(V2G)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부산은 산업단지와 항만, 데이터센터 등을 중심으로 ESS를 대규모로 구축해 수요관리형 절전 모델을 실험하며 경기도는 공원 내 태양광과 ESS, 전기차 충전소를 연결해 전기를 저장·판매하는 마이크로그리드를 시범 운영한다.

분산특구 지정은 그간 정권교체와 정부 조직개편 등으로 에너지위원회 위원 선정이 늦어지며 계획보다 5개월 정도 연기됐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이번 분산특구와 에너지 이용 합리화 계획이 에너지 시스템 혁신과 탈탄소 사회 전환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