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초빙 90일로 완화…12월 종료 ‘원위치’ 우려
이명노 시의원 “공공치과병원 등 고민 필요”
광주시 “복지부에 마취과 공보의 배정 요청”
광주지역 중증장애인들의 치과 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근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본보 연속 보도 이후 마취과 전문의가 한시적으로 추가 초빙돼 진료일이 주 2회에서 3회로 늘었지만, 내년에는 다시 대기 기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아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열린 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의 광주시 복지건강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 중증장애인 치과 진료 대기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광주에는 670여 곳의 치과가 있지만, 중증장애인이 안전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곳은 전남대학교치과병원과 조선대학교치과병원 단 두 곳뿐이다.
일반 치과에서는 뇌병변, 자폐성, 지체장애인 등의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다. 의료사고 위험이 높고, 행동조절을 위한 전신마취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마취과 의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이다.
전남대치과병원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의 경우 마취과 전문의가 화순전남대병원 등 다른 병원의 수술을 병행하고 있어 주 2회만 치과 진료가 가능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평균 120일을 기다려야 했고, 일부는 2년 이상 대기하는 사례도 있었다. 치과 치료는 여러 차례 방문이 필요한 특성상 대기가 길어지면 재진 일정이 밀리고, 그 사이 염증이 악화돼 전신질환으로 번질 위험도 커진다.
이에 광주시는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논의 중이라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행정사무감사에서 “중증장애인 치과치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조선대치과병원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복지부에도 마취과 공중보건의 배정 요청도 했다”며 “하지만 마취과 전문의를 구하기는 여전히 어렵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공공치과병원 설립 등을 요구했다.
이명노 광주시의원은 “선언적 의미일 뿐, 결국 대안이 마련된 것은 아니다”며 “중증장애인 치과진료 대기 시간을 줄이는 것과 공공치과병원 설립 등 시에서 고민하는 흔적을 남겨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최소한 불편을 겪는 이들에게 작은 위로라도 줄 수 있어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혹여나 의료인들이 친절도라던가 서비스에 내용 면에서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감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광주에는 중증장애인 2만 7575명, 치매환자 2만 2000명 등 약 5만 명이 치과 진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앞서 본보 보도 이후 전남대치과병원은 마취과 전문의를 한시적으로 추가 초빙해, 진료일을 주 2회에서 3회로 늘렸다. 이에 따라 진료 대기일수도 평균 120일에서 약 90일로 단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이 인력은 올해 12월까지만 한시적으로 근무하는 계약이어서, 내년 이후에는 다시 대기 기간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에 광주시는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로 지정된 전남대학교치과병원 외에 조선대학교병원에도 복지부와 협의해 의료비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제안했지만 치료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 등으로 무산됐다. 다만 수년간 동결된 마취과 의사 인건비가 내년부터는 소폭 증가될 전망이다.
또 복지부에서도 광주지역의 중증장애인 치과 대기시간 문제를 인지하고 있어 마취과 공보의를 배치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복지부에서 광주에 내려와 수도권과 다른 현 상황을 인지하고 갔다”며 “마취과 의사가 부족해 어려움이 있으니 공보의를 배정 지원해달라고 요청했고, 내년 3~4월 중 결론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인건비 부분도 예산이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초빙된 마취과 의사에게도 내년에도 계속 진료를 볼 수 있도록 요청하고 있는 상태다”고 말했다.
전경훈 기자 hu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