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공천이 곧 당선인 광주·전남 지방선거에 입지자들이 몰리고 있다. 특히 광주 북구에서는 청장 입지자만 10명이 넘게 난립하며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이 내세운 ‘노 컷오프’ 기조와 당원 중심 경선 방식이 난립 현상을 부추겨 본선을 앞두고 벌써부터 ‘승자의 저주’를 걱정해야 할 지경이다.

 민주당 후보 난립에는 노 컷오프 기조가 자리한다. 명분상으로는 더 많은 이들에게 기회를 준다는 것이지만 최소한의 검증 과정 없는 무사 통과가 후보 난립을 허용하는 부작용을 우려케 한다. 실제 광주 북구에서는 10명이 넘는 구청장 후보가 물밑 경쟁에 뛰어들었다. 현직 청장의 불출마로 무주 공산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노 컷오프가 전반적으로 난립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최근 권리당원 중심의 경선 룰이 바뀔 것이라는 기대도 과열에 불을 당기고 있다. 민주당의 정청래 대표가 당원 중심 당 운영을 확고히 하면서 경선 룰의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그러나 당원 중심이든 유권자 중심이든 경선룰의 변화를 자기식으로 해석하는 것은 자유지만 함량미달의 인사들이 대거 선거판에 뛰어들어 물을 흐리는 것도 볼썽 사납다.

 광주·전남은 민주당 독주체제가 수십년 지속되다보니 당심과 민심의 거리감도 상당하다. ‘당심’이 곧 ‘민심’이라는 착각에 빠져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면 그만이라는 안일한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특히 조직을 등에 업은 후보가 민심의 지지를 받는 후보를 제치는 호남만의 독특한 정치지형이 민심 왜곡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세상에 완벽한 경선 룰은 없다. 그래도 일정 수준의 검증과정이 없는 노컷이 무자격 후보를 난립케 하는 것은 곤란하다. 민주당은 당원 중심 경선에 더해서도 좀 더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광주· 전남은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해 전혀 예상치 못한 후보가 당선되는 결과도 비일 비재하다. 민주당 후보로 막대기만 꽂아도 되는 것은 문제다. 하지만 “당심이 곧 민심이다”라는 오만한 등식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