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동계 정기편 일정서 무안공항 제외” 유감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 즉시 신청 입장 밝혀

광주공항 전경.
광주공항 전경.

광주시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1년을 앞두고 정부에 호남권 하늘길 복원과 피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광주시는 10일 기자들과 만나 “광주시는 참사 이후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무안국제공항의 조성과 조속한 정상화 대책 마련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으나, 아직까지 공항이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2025년 동계 정기편 항공 일정(2025년 10월~2026년 3월)에 무안국제공항을 포함하지 않은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내년 3월까지 호남권 하늘길이 사실상 막히게 됐고, 지역 항공 접근성 단절로 인한 광주·전남 시·도민의 불편과 지역경제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김영선 광주시 통합교통국장은 “지난 2월부터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취항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면서도 “국토부가 무안국제공항의 10월 재개항 가능성을 들어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토부는 무안국제공항 정상화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이나 대책을 제시하지 않은 채 국제선 취항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는 국토부의 무안공항 재개항 계획이 수차례 연기돼 온 점을 지적했다.

실제 무안국제공항은 지난해 12월 활주로 폐쇄 이후 1차 연장(2025년 1~4월), 2차(4~7월), 3차(7~10월), 4차(10월~내년 1월) 등 잇따라 폐쇄 기간이 늘어왔다. 그럼에도 국토부가 최근 ‘2025년 동계 정기편 일정’에서 무안공항을 제외하면서, 재개항 시점이 불투명해졌다는 것이다.

김 국장은 “현재와 같은 불확실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무안국제공항 정상화가 상당 기간 지연될 우려가 크다”며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을 즉시 재신청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역민의 불편과 피해를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책임 있는 자세로 호남권 하늘길 복원과 피해 대책 마련에 조속히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경훈 기자 h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