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정 시의원 “본부 이원화로 효율 떨어져” 지적
동복댐 관련 “무분별한 관광개발, 식수원 안전 위협”

상수도사업본부가 있는 덕남정수장. 광주시 제공.
상수도사업본부가 있는 덕남정수장. 광주시 제공.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가 통합청사로 쓰겠다며 115억 원에 매입한 옛 북광주우체국 건물이 4년째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미정 광주시의원은 10일 광주상수도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청사 통합 필요성을 인정하고도 리모델링 예산조차 세우지 않은 채 건물만 사놓은 건 행정낭비”라며 “이원화된 구조로 행정 효율이 떨어지고 시민 불편만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현재 상수도본부는 덕남정수장과 용연정수장으로 나뉘어 있고, 같은 부서 내에서도 팀이 흩어져 있어 부서 간 협업과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경영부 총괄기획팀은 덕남정수장, 요금정책팀과 재무팀은 용연정수장에 있으며 기술부와 수질연구소는 덕남정수장, 정수사업소와 수도사업소는 서구 KDB 빌딩과 구별 사업소로 각각 분산돼 있다.

이에 상수도본부는 2020년 덕남정수장으로 이전한 지 1년 만에 조직 통합을 명분으로 총사업비 144억 원을 들여 북광주우체국을 매입했으나, 리모델링·내진보강 등 추가 비용 문제로 4년째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매입 당시 10년 이상 공공청사 사용 조건을 단 수의계약 탓에 매각 전환도 어렵다는 것이 박 의원의 설명이다.

상수도본부는 올해 임차 중인 KDB 빌딩 임대료(연 5억 원, 보증금 12억 원)를 감축하기 위해 옛 북광주우체국 건물 1~2층을 일부 리모델링해 일부 부서 입주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상수도본부 통합청사는 단순한 공간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수돗물 복지와 직결된 행정 효율성의 문제”라며 “시는 즉시 활용계획을 확정해 청사 이원화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박 의원은 동복댐 상생 지원의 실적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광주가 화순군에 일방적인 부담을 전가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광주시와 중앙정부가 동복댐 상생 지원을 통해 화순군에 누적 978억 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복댐은 광주시가 건설·관리하는 법적 상수원으로, 관리권은 광주시에 명확히 부여돼 있다” 며 “법적 근거 없는 관리권 이양이나 무분별한 관광개발은 시민의 생명수인 식수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시연 기자 youn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