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노 광주시의원 “실시간 모니터링·외부기관 검증 필요”

덕남정수장. 광주시 제공.
덕남정수장. 광주시 제공.

 최근 광주 서남·광산권을 중심으로 발생한 수돗물 필터 변색 사태와 관련해 상수도 수질 관리 체계 전반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명노 광주시의원은 10일 열린 상수도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번 사안은 단순 망간 검출 문제가 아니라 변화 상황을 조기에 포착하지 못한 수질 감시 체계의 한계가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이번 변색 신고는 지난 10월 17일부터 접수됐지만, 상수도사업본부는 21일이 돼서야 관련 설명과 안내를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수장에서 배수지, 관말을 거쳐 수용가에 이르는 과정에서 시간대별 수질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감시 체계가 부재했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와 함께 민원 접수가 수질연구소와 수도사업소 등 기관별로 분산 관리돼 통합 대응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실제 수질연구소는 10월 17일부터 29일까지 총 234건의 필터 변색 민원을 접수했다고 밝힌 반면, 수도사업소는 150여 건으로 파악해 부서 간 민원 통계조차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드러났다.

 이 의원은 “수질 기준이 허용 범위 내였다는 설명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경보 발령 기준, 민원 정보 통합 관리, 현장 대응 절차가 작동했는지 전면적인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수장부터 수용가까지 이어지는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체계 구축, 보건환경연구원·환경공단 등 외부 전문기관과의 교차 검증 시스템 도입 등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광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정수장에서 정수 과정에 대한 책임과 운영을 맡고 수질연구소는 지원 역할로 운영돼 왔는데 이번 일을 계기로 두 기관을 긴밀하게 연결해 원수부터 정수 과정에 서로 협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유시연 기자 youn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