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설문 참여자 전화번호 홈페이지 노출…본보 보도 후 뒤늦게 삭제
조익문 사장 “보완 조치·사과문 게시…항의 11건 접수, 실질 피해 없어”
박수기 시의원 “내부서 인지 못하고 언론 보도로 드러나 책임 무겁다”
광주교통공사가 시민 788명의 개인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외부에 노출한 사건과 관련 공식적인 피해는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공기관에서 관리 부실로 개인정보가 유출된 만큼 재발 방지를 위한 개인정보 강화 요구의 목소리가 광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11일 박수기 광주시의원은 광주교통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난 10월 본보 <[단독]광주교통공사 설문조사 참여 시민 788명 개인정보 노출> 보도와 관련 재발 방지를 요구했다.
앞서 광주교통공사는 지난 9월 22일부터 10월 9일까지 실시한 중장기 경영전략 설문조사 참여자 788명의 휴대전화번호가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사실이 본보 취재로 드러난 바 있다.
당시 공사는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게시물을 방치하다 본보 취재 이후에야 삭제했다. 이후 유출 피해자들에게 문자 통보를 진행하고,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재했다.
박수기 시의원은 “내부에서 먼저 인지한 게 아니라 언론 보도로 드러난 것은 책임이 무겁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조익문 광주교통공사 사장은 “회사 중장기 전략 수립과 관련해 설문조사를 진행하면서 응답자 788명에게 작은 기념품이라도 증정하기 위해 명단을 받는 과정에서 비공개 게시판을 통해서 받았다고 생각했는데 노출이 된 사안이다”며 “죄송스럽게 생각하고 인지한 즉시 바로 보완조치 했다”고 사과했다.
조 사장은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시함과 동시에 노출 당사자로 된 분들에게 사실관계를 말씀드렸고, 혹시 모를 피해가 있을 경우 스팸에 대한 대응이라던가 피해가 있을 경우 피해에 구제 절차를 안내했다”며 “총 11건의 이메일과 유선으로 항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실질적인 피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조 사장은 “이 일을 계기로 홈페이지 전반의 취약점을 점검하고 있다”며 “직접 내부 감사를 요청했다. 연말 안에 감사 결과가 나올 예정으로 책임이 확인되면 행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수기 의원은 “기술적 문제는 이미 보완했겠지만, 시민의 개인정보를 다루는 공공기관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전경훈 기자 hu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