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효율재정 병행 운용
광주시가 2026년도 본예산안을 7조 6823억 원 규모로 편성해 11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7조6043억 원)보다 780억 원(1.0%) 증가한 수치다.
자체 수입은 3.9% 감소했지만,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이 7.4% 늘면서 전체 예산은 소폭 증가했다. 일반회계는 6조 2725억 원(0.2%↑), 특별회계는 1조4098억 원(5.0%↑)으로 편성됐다.
광주시는 이번 예산을 ‘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함께 행복한 광주 실현’을 목표로, 민생 안정과 미래 투자라는 두 축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소상공인 특례보증자금(75억 5000만 원), 노란우산 장려금(10억 원), 사회보험료 지원(2억 5000만 원) 등 서민경제 안정을 위한 자금 지원이 확대된다.
또 전통시장(12억 2000만 원), 공공배달앱(5억 5000만 원), 상생카드(410억 원) 등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을 이어간다.
청년 지원 분야에서는 청년월세(79억 6000만 원), 청년구직활동수당(50억 원), 일경험드림 사업(77억 원) 등 주거·일자리 대책을 강화한다.
AI 2단계 AX실증밸리(73억 원), 미래차 전장핵심부품 개발(6억 원), 배전망기술 테스트베드(10억 원) 등 첨단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혁신성장 기반을 확충한다.
그린스타트업타운(41억 9000만 원), 창업기업성장지원센터(103억 원), 예비창업가 육성(15억 원) 등 창업 생태계 조성에도 속도를 낸다.
또 RISE(879억 4000만 원), 글로컬대학(338억 원) 등 대학혁신 사업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 기반을 강화하고, 비엔날레(54억 원)와 국제문화창의산업전(17억 6000만 원) 등 문화산업에도 예산을 배정했다.
저출생 대응을 위해 손자녀가족돌보미(8억 원), 다태아 출산축하금(1억 6000만 원), 출생가정 상생카드(20억 원) 등을 확대하고, 통합돌봄 체계(74억 3000만 원) 구축을 이어간다.
또 광주형 평생주택 건립(122억 9000만 원) 등 주거복지 사업을 추진하며, 생애주기별 복지 안전망 강화를 예고했다.
2045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대·자·보 도시)’ 전환 정책을 지속한다. 특히 G-패스 교통비 환급제(77억 원)를 이어가고,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정비(15억 원), 우수저류시설 설치(55억 원), 취약지역 주거개선(64억 7000만 원) 등 기후재난 대응 기반시설 확충에 나선다.
광주시는 업무추진비·사무관리비 등 일상경비와 행사·축제성 예산을 절감하고, 불요불급 사업을 구조조정하는 고강도 세출 효율화 방안을 병행했다.
전경훈 기자 hu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