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정부 예산 소진에 광주시 반쪽 행사 전락
“10%라도 다행”…“지역화폐보다 못해” 반응 엇갈려
정부의 온누리상품권 할인 판매가 예산 조기 소진으로 갑작스럽게 중단되면서, 광주시가 홍보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20% 혜택’도 반쪽짜리로 전락했다.
광주시는 정부의 10% 선할인에 자체 환급 10%를 더해 총 20%의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의 지원이 예고 없이 종료되며 환급분 10%만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시민들 사이에서는 “하루 만에 혜택이 반으로 줄었다”는 아쉬움과 “그래도 시가 자체 환급을 유지해 줘 다행”이라는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역 소비 진작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지난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 7주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결제금액의 10%를 환급하는 소비환원형 행사를 진행 중이다.
당초 이 행사는 정부의 기본 할인 10%와 광주시의 환급 10%가 동시에 적용돼, 사용금액의 최대 20%를 돌려받을 수 있는 ‘더블 혜택’ 구조로 홍보됐다.
그러나 행사 이튿날인 11일 오후,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예산 조기 소진으로 온누리상품권 할인 판매를 11일 0시부터 전면 중단한다”고 긴급 공지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그 결과 정부가 부담하던 10% 선할인 혜택이 사라지고, 광주시의 10% 환급 지원만 남게 됐다.
할인 종료 소식이 전해진 10일 밤, 시민들은 자정까지 남은 한도를 모두 채우기 위해 ‘충전 전쟁’을 벌였다.
정부와 광주시의 혜택이 함께 적용될 때는 20만 원을 충전하면 정부 할인 10%(2만 원)과 광주시 환급 10%(2만 원)로 총 4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 할인 중단 이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은 환급분 2만 원, 즉 10%로 절반 수준에 그치게 됐다.
시는 환급 한도를 회차별 1인당 최대 2만 원으로 설정하고, 매주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를 1회차로 운영한다. 결제금액 1만 원 이상부터 1000원 단위로 환급되며, 각 회차 종료 후 10일 이내 ‘디지털 온누리 앱’의 선물하기 기능을 통해 순차 지급된다.
예산 조기 소진 소식에 시민들 반응은 당혹감과 아쉬움이 뒤섞였다.
“갑작스러운 중단이라 황당하다”는 목소리와 “그래도 시가 환급을 유지해줘 다행”이라는 반응이 함께 나오고 있다.
특히 13% 혜택의 광주상생카드 외에도 지역화폐 ‘부끄머니’나 ‘동구랑페이’, ‘남구 동행카드’, ‘광산사랑상품권’ 등 자치구별 상품권이 18% 전후의 할인율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혜택이 줄어든 디지털온누리의 체감 경쟁력은 낮은 편이다.
직장인 이모 씨는 “이달 내내 20%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거라 기대했는데 이제는 10%뿐이라 아쉽다”며 “지난번 특별재난지역 행사 때도 혜택이 좋았지만 예산이 금방 소진돼 아쉬웠다. 이번에도 예산 부족으로 조기 종료돼 아쉽다”고 말했다.
반면 북구 시민 박모 씨는 “다른 지역은 10% 혜택마저 없을 텐데, 그래도 광주시는 자체 예산으로 이어가줘서 다행”이라며 “혜택이 점점 줄어드는 점은 아쉽지만, 내년에는 더 많은 예산이 확보돼 다시 확대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광주시는 정부의 할인 중단 이후에도 자체 예산으로 환급 행사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주재희 광주시 경제창업국장은 “정부 할인 종료로 아쉽게도 시민들이 중복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됐지만 광주시의 10% 화나급 지원만으로도 지역경제 활성화에 의미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면서 “소상공인과 시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소비진작 정책을 지속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