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장 확인·수험표 지참·전자기기 반입 금지
광주 수험생 1만 7731명, 전년대비 885명 늘어
“가장 잘 봤던 문제지 챙겨 가볍게…긴장 해소”

11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광주시교육청에 도착한 수능 문답지를 시교육청 관계자들이 옮기고 있다.
11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광주시교육청에 도착한 수능 문답지를 시교육청 관계자들이 옮기고 있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수능 26지구인 광주지역이 긴장된 분위기 속에 마지막 점검에 나섰다. 문답지가 도착하고 시험장 준비가 마무리되면서, 광주지역 수험생들은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펼칠 결실의 마지막 관문을 앞두고 있다.

 11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광주지역 수험생은 1만 7731명으로, 지난해보다 885명 늘었다.

 2007년생 ‘황금돼지띠’ 세대가 본격적으로 수능에 진입하면서 학령인구 증가세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광주에는 일반시험장 40곳, 예비시험장 1곳 등 총 41개교, 645개 시험실이 운영된다.

 시교육청은 이미 지난달 ‘2026학년도 수능 26지구 광주관리본부’를 가동해 문답지 운송·보관, 감독관 배치, 재난 대비 등 전 과정을 점검했다. 시험 당일에는 관리요원과 감독관 등 3300여 명, 경찰 80명, 구급대원 40명이 투입돼 시험장 안전을 책임진다.

 시험 이틀 전인 11일 오후에는 문답지가 광주에 도착했다.

 지난해에는 의대 정원 확대 등 이슈로 재도전(N수생) 비중이 높았지만, 올해는 의대 정원 원점 복귀, 첨단학과 증원, 무전공 모집 증가 등 입시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수험생들의 긴장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수능 전날인 12일에는 예비소집이 진행된다.

 이날 수험생들은 수험표를 수령해 시험장을 찾아 교실 위치, 출입구, 반입 금지 물품 등 안내사항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수험표를 배부 받은 뒤에는 기재된 선택과목을 다시 확인하고,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오후에 직접 시험장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만약 수험표를 분실했더라도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응시원서에 붙인 사진과 동일한 사진 1장과 신분증을 지참해 시험 당일 오전 7시까지 시험장 관리본부에서 재발급받을 수 있다.

 사진이 없는 경우에도 시험 관리본부에 신고하면 임시 수험표 발급이 가능하다.

 수능을 앞두고, 수험생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마지막 점검’도 강조된다.

 정훈탁 광주시교육청 진로진학과 장학관은 “시험 하루 전, 가장 중요한 세 가지를 기억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먼저 예비소집에 참석해 수험표를 받고 유의사항을 숙지한 뒤, 시험장을 방문해 출입구와 교실 위치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며 “두 번째로는 수험표·신분증·도시락을 반드시 챙길 것이다. 만약 수험표나 신분증을 깜빡했다면, 곧바로 시험장 관리본부로 가면 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세 번째로 부정행위로 간주될 수 있는 실수를 절대 해서는 안 된다”며 “전자기기는 1교시 시작 전 반드시 제출해야 하고, 종료령이 울린 뒤 답안지를 마킹하면 부정행위 처리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4교시는 하나의 문제지만 꺼내놓고 시험을 봐야 한다”며 “쉬는 시간 교재를 책상 속에 넣어두는 것도 부정행위에 해당하므로 반드시 가방 속에 넣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 장학관은 시험 당일 긴장을 줄이는 방법으로 ‘좋은 기억을 떠올리는 연습’을 제안했다.

 그는 “시험 쉬는 시간에는 지금까지 가장 잘 봐서 기분이 좋았던 문제지를 책 읽듯 가볍게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그때의 좋은 느낌과 자신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예비소집이 끝난 뒤에는 곧장 집으로 돌아가 컨디션을 조절하고 마인드 컨트롤을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수험생들이 안전하게 시험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한다. 13일 오전 6시부터 종합상황실 6곳을 운영하며, 공무원·경찰·모범운전자 등 543명(18개 기관)이 투입돼 주차 질서·비상 수송·소음 통제를 총괄한다.

 한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5분까지 진행되며, 수험생들은 오전 8시10분까지 입실을 완료해야 한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