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주기…생계 안정·의료 대책 등 마련
전남도 “지역경제 회복 범정부 협력 강화”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위원회는 유가족 생계 안정과 심리·의료 지원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13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12·29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위원회가 출범해 첫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는 추모위원장인 김민석 국무총리와 김영록 전남지사, 박미경 민간위원장, 7개 관계부처 장관, 김유진 유가족 대표 등 위원 20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지원·추모위원회 및 민간전문가 자문단 운영 계획, 피해 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 방안, 피해자 종합지원대책 및 세부지원계획 등 4개 주요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특히 피해자 지원을 위해 △생활지원금 및 특별지원금 △신체적·정신적 질환에 대한 의료지원금 △근로자 치유 휴직 △법률 지원 △미성년 피해자 보호 및 지원 등에 나서기로 했다.
또 여행업계와 지역 상권 지원, 문화·관광 등 총 13건의 1300억 원 규모 피해 지역 경제 활성화 사업을 논의하고 범정부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 총리는 “관계부처는 지원, 절차 등을 유가족에게 신속하고 소상하게 알려드리고 필요한 지원을 받으실 수 있도록 하라”며 “다음달이 여객기 참사 1주기다. 국토부 등에서는 1주기 추모식을 희생자와 유가족들께 최고의 예우를 갖춰서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해 달라”고 밝혔다.
이어 “위원회는 안타깝게 돌아가신 179분의 희생자 한 분 한 분을 기억하면서 안전한 나라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위원들이 이 같은 유가족분들의 절실한 염원을 다 받들 것”이라고 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 지사는 “생계 안정 지원과 심리·의료 지원 등 유족이 원하는 부분이 최대한 반영돼 신속히 시행되도록 협조 부탁드린다”며 “전남도는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진상 규명과 피해자 지원, 추모사업 등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안국제공항 폐쇄로 여행업계 피해가 심각하다”며 여행업계의 타 공항 이용 교통비 지원,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 발표를 건의했다.
한편 여객기 참사 지원·추모위원회는 국무총리 소속으로 운영되며 피해자 지원과 추모사업, 재단과 사단 선정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게 된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