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주·시민사회 “협의 없어” 반발
광주시 “최소한의 공간 확보 논의 중”

13일 전일빌딩245에서 전방·일신방직 부지 문화공원1 활용에 대한 시민사회 1차 토론회가 개최됐다.
13일 전일빌딩245에서 전방·일신방직 부지 문화공원1 활용에 대한 시민사회 1차 토론회가 개최됐다.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 내 조성될 것으로 발표됐던 ‘일제강제동원시민역사관’ 건립 계획이 진통을 겪고 있다. 당초 광주시는 강제동원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시민 교육의 장으로 삼기 위해 역사관을 세우겠다고 발표했지만, 협의가 부족하다는 사업주와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 부딪혀 재논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를 비롯해 노동·여성·문화 등 각계 시민사회단체는 13일 전일빌딩245에서 ‘전방·일신방직 부지 문화공원1 콘텐츠 무엇으로 할까’를 주제로 한 시민사회 1차 토론회를 개최했다.

 기우식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사무처장은 이날 토론회 배경에 대해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어떤 콘텐츠를 넣을 것인지 시와 시민사회 간 논의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역사관 조성이 발표되면서 지역 사회 논란이 커졌다”며 “쟁점에 대한 시민사회의 입장을 정리하고 제안할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문화공원1은 전방·일신방직 부지 북쪽 1만 5847.4㎡ 규모로 사업자인 챔피언스시티복합개발피에프브이가 리모델링을 진행, 조성해 기부채납한다.

 광주시는 문화공원의 보존건축물과 녹지공간을 구체화해 지역과 장소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디자인을 도출하기 위해 지명설계공모를 시행했고 당선작에는 공연시설과 근대산업역사관, 방직노동박물관 등을 조성하는 계획이 담겼다.

 그러나 해당 당선작에는 광주시가 지난 8월 보도자료를 통해 발표한 ‘일제강제동원시민역사관’ 조성 계획이 빠져있었고, 역사관 조성 부지로 지목됐던 제2보일러실엔 ‘방직노동박물관’을 조성하겠다는 내용이 담기면서 논란이 커졌다.

 시민사회는 문화공원1 조성 방향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시민사회와 공식적인 협의 없이 일제강제동원시민역사관 조성 계획이 발표되며 논란을 키웠고, 당선작에 대한 재고도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토론에 참석한 시 관계자는 “설계공고 중간에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조성 요청이 들어와 검토하는 과정에 언론 보도가 나갔다”며 “이후 사업주와 협의를 진행했지만 현재로선 어떤 공간도 내어줄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기우식 사무처장은 “사전 협상을 통해 만든 시행 지침서가 유연한 틀로 돼 있었고, 시민사회 의견 수렴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가 들어갈 수 있다는 설명이 시에서 있었다”며 “사업자의 입장이 그렇다고 그대로 수용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논의를 반영해 시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입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방직공장 여공으로 일했던 전소연 씨는 “기존 시민사회 아이디어로 일제강점기에서 5·18까지 여성 노동자들의 삶과 투쟁을 담기로 했던 취지가 바뀐 근본적 이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며 “그간 논의됐던 내용이 모두 빠진 상태에서 강기정 시장이 약속했던 일제강제동원역사관 또한 무산되는 느낌인데 이에 대한 논의도 필요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아직 확정됐다고 볼 순 없지만 설계 공모를 통해 당선작이 선정됐으면 일부 수정은 할 수 있을지라도 작품을 훼손할 순 없다”며 “시 차원에선 최소한의 공간이라도 확보해 보려고 협의를 하고 있는데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말했다.

  유시연 기자 youn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