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역 증편, 지역 균형발전 핵심 과제 부상
“수요 폭증 대비, 지금이 골든타임”
전주시가 전라선 고속철도 증편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하며 지역 교통체계 전환의 필요성을 분명히 제시했다.
전라선 철도용량 부족이 시민 불편을 키우고 지역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문제의식이 공론화되면서, 전주역 증편 요구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주시(시장 우범기)와 전주시정연구원(원장 박미자)은 14일 전주베스트웨스턴 호텔 1층 Best hall에서 ‘전주역 고속철도 증편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우범기 전주시장과 이성윤 국회의원을 비롯해 교통 전문가, 연구기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여하며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이날 토론회는 전라선(전주역) 고속열차 증편의 필요성을 명확히 규정하고, 지역 교통체계를 철도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었다.
1부 순서의 첫 발제자 김관용 전주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주시는 인구 감소, 고령화 등 미래 사회 변화에 직면하여 교통 기본권 확보와 지역 균형 발전 측면에서 고속철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초 지자체 최초로 BRT를 추진하고 대광법 통과로 국고 지원 근거를 마련하는 등 현재 교통 정책의 대대적인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지역 간 연결 및 이동 속도 확보를 위해 전주역 고속철도 증편이 필요하며 대전-세종-충청권의 CTX(광역철도 사업)를 전주권 교통 발전의 롤 모델로 삼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 김현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수는 전주역 고속철도 초과 수요에 대한 데이터 기반 진단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전주-수도권 구간 예약 실패가 반복되는 원인으로 전라선 공급 부족을 지적하며, ▲피크 시간대 (오후 2시부터 저녁 7시 사이) 탄력 배차 ▲일부 타 노선 열차의 전라선 정차 전환 ▲좌석 공급 확대 (왕복 1회 추가 시 주말 수요 약 40% 해소 가능) 등을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또한 2028년 평택-오송 2복선 개통, 2031년 수서-광주선 개통에 따라 고속철도 전체 운행계획이 조정될 가능성을 제기하며 “전주역 증편은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2부 권용석 전주대학교 교수가 좌장으로 진행한 토론회에서 4명의 토론자들은 전주가 외곽 입지와 부족한 대중교통 연계로 인해 교통 기본권이 침해당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장항선-서해선 노선을 익산이 아닌 전주역까지 연장하도록 요구하고 전북 지역의 연대를 통해 증편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주역은 이미 확인된 초과 수요에 대비하여 승용차 중심이 아닌, 트램이나 무궤도 트램(트레인-스트램) 도입 등을 통한 철도 중심의 교통 체계 및 대중교통 접근성 강화를 시급히 준비해야 하며, 고속철도 증편 논의는 현재의 초과 수요 해소뿐만 아니라 향후 전주시의 각종 개발 사업으로 인해 발생될 추가 수요 증가분까지 폭넓게 예측하고 대비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윤재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