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5분 발언 “순국선열의 날, 역사 바로잡아야”
“전남 독립운동가 대거 빠져… 5·18 광주·전남 항쟁 축소”
역사 왜곡과 식민사관 의혹을 받는 ‘전라도 천년사’가 폐기돼야 한다는 주장이 전남도의회에서 다시 제기됐다.
신민호 도의원(더불어민주당, 순천6)은 17일 도의회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전라도 천년사는 오류·누락·왜곡 세 단어로 요약된다”며 “맞춤법, 용어, 사실 오류 등 너무나 많은 문제가 드러났고 독립운동을 다룬 근대 4권에서 전남 출신 독립운동가와 전남지역 활동이 대거 빠져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주지역 독립운동은 아예 서술조차 되어있지 않으며 국가보훈처 공훈록만 보더라도 명백한 사실들조차 누락돼 있다”며 “이대로 두면 후손들이 전남에는 독립운동이 없었다고 오해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신 의원은 또 “5·18 언급에 홍남순 변호사, 김대중 대통령, 윤공희 대주교 등이 전라도 출신이라고 애써 강조하고 있고 1987년 6·10 민주항쟁을 다루면서 ‘여수지역이 이념의 낙인과 심리적 검열을 극복해야 했다’고 서술하는 등 광주·전남이 지역감정, 이념의 굴레에 빠져 있는 지역이라는 뉘앙스를 교묘히 심어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5·18 관련 단원의 목차만 보더라도 광주·전남의 항쟁 사실을 축소하고 있다”며 “광주·전남은 ‘운동’으로 표기한 반면, 전북에는 저항과 민주화 투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했다.
신 의원은 “서정주, 임학수, 김동인 등 대표적 친일 작가들을 우리 지역 문학에 영향을 준 문인이라고 소개하며 그들의 친일 부역한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오늘은 순국선열의 날”이라며 “조국 독립을 위해 목숨 바친 선열들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근대편 서술에서 전남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상이 다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제기하며 ‘전라도 천년사 감수단’을 구성, 누락된 부분을 바로 잡을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천년사 발간사업은 전라도 정명 1000년을 맞아 2018~2022년 호남 3개 광역지자체가 8억 원씩 총 24억 원을 투입해 전북도·전북연구원의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2022년 11월 봉정식과 함께 책을 배포하려 했으나 역사 왜곡과 식민사관 서술 의혹 논란으로 보류됐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