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역사 현장 복원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항쟁 당시 광주시민들이 꼭 기억해야할 역사적 공간인 옛 적십자병원과 구묘지, 옛 도청 복원이 예산 부족과 운영 주체 미정 등의 이유로 복원 문턱서 멈춰 선 것이다.
5·18 민주화운동은 우리 현대사의 아픔이자 자랑스러운 민주주의 역사의 한 페이지다. 그 숭고한 정신을 기억하고 계승하기 위해서 현장을 원형 그대로 복원하는 것은 기본적 책무다. 역사 현장의 온전한 복원은 그 어떤 논쟁보다 우선해야할 과제다. 그럼에도 5·18 역사 현장 복원 사업이 지지부진함을 면치 못하고 있으니 안타까운 현실이다.
옛 광주적십자병원과 구묘지 등은 5·18 민주화운동의 생생한 흔적을 담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사적지 11호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은 민간 매각을 반대하고 원형 보존을 통해 시민의 품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당위성을 지닌 곳이다. 구 묘지는 5·18 희생자들을 수습해 임시 매장했던 곳으로 5월 영령들뿐만 아니라 당시 상황을 알리고 수습하기 위해 노력했던 분들의 정신이 서려 있다. 이런 곳이 예산 부족으로 복원이 미뤄지는 것은 산자의 부끄러움이다.
더욱이 옛 전남도청은 내년 1월 복원, 5월 정식 개관을 앞두고 운영 주체를 확정하지 못해 복원후 운영 방안을 미루고 있다고 한다. 옛 전남도청은 시민군의 최후 항쟁지로 5·18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다. 이런 곳이 방향성을 잃고 표류중이라니 답답함을 넘어 심각한 무책임으로 받아들여진다. 명확한 비전과 책임감 있는 주체를 하루 바삐 선정해 정상 운영에 나서 줄 것을 광주시에 촉구한다.
우리는 지난 연말 빛의 혁명을 통해서도 5·18 정신의 역사적 진가를 다시 확인했다. 5·18 역사 현장 복원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길이라는데 이론이 있을 수 없다. 이재명 대통령도 후보 시절부터 5·18 정신 계승을 약속한 바 있다. 공약 이행을 위해서도 국비 지원은 미룰 수 없는 시민과의 약속이다. 광주시가 중심을 잡고 지역 국회의원들이 힘을 합친다면 국비 확보에 청신호가 켜지지 않겠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