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AI특위 3차 간담회
병원 데이터 표준화·규제프리·인허가 원스톱 등 실질적 정책 요구 이어져

18일 오전 광주시의회 대회의실에서 AI특위 3차 간담회가 열리고 있다.
18일 오전 광주시의회 대회의실에서 AI특위 3차 간담회가 열리고 있다.

광주시의회 인공지능실증도시특별위원회가 18일 ‘3차 AI기업 조찬간담회’를 열고 헬스케어 분야의 AI 활용과 제도적 과제 해결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지역 의료인·기업·연구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헬스케어 데이터 활용부터 인증·인허가 체계, 통합돌봄 연계까지 의견을 쏟아냈다.

이날 발제에 나선 박병훈 티쓰리큐 대표는 “헬스케어 AI 경쟁력은 공통 플랫폼이 아니라 도메인 특화 에이전트에서 나온다”며 “병원 데이터 확보·표준화와 함께 광주가 자체 OS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실제 병원들과 진행 중인 대화형 헬스케어 에이전트 실증 사례를 소개하며 “GMP·GS·의료기기 인증 등 인허가 장벽이 상용화를 가로막고 있다”며 원스톱 지원 체계 필요성을 언급했다.

현장 기업들은 ‘데이터 확보’와 ‘규제 완화’, ‘지자체의 허브 역할’을 공통 과제로 제기했다.

양국승 트래시스 대표는 “AI 중심도시를 넘어 데이터 중심도시로 전환해야 한다”며 “개인정보 규제로 인해 데이터 가공과 공유가 막혀 있는 만큼, 광주의 실증·규제프리 환경을 활용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기관의 역할 역시 강조됐다. 김철현 이스트소프트 전략실장은 “병원과 기업, 지자체 간 사일로를 해소해야 한다”며 “중앙정부와의 정례 간담회를 통해 광주가 의료-기업-병원을 잇는 허브가 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헬스케어 AI가 시민에게 직접 체감되는 모델로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송가람 라이프퓨쳐텍 대표는 “고령화·비용 증가·병원 접근성 문제를 감안하면 시민 참여형 실증이 필수”라며 “기업과 정책을 연계해 실제 생활에서 쓰일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의료계에서는 ‘시민 데이터 생성 구조’를 추진해야 한다는 제안이 제기됐다.

김주완 전남대병원 교수는 “헬스케어 AI는 결국 시민이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구조가 핵심”이라며 “1·2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실증과 시민 리워드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업 생태계 측면에서는 광주의 고유 전략 설정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컸다.

박종형 맨인블록 대표는 “광주만의 대표 키워드를 설정해야 기업이 모인다”며 “원주 WMIT처럼 인증·인허가 원스톱 지원을 벤치마킹하고, 대형 컨소시엄·국가과제 참여를 시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현재 추진 상황을 소개하며 현장의 제안을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도안 광주시 로봇가전의료산업과장은 “생체이식형·뷰티·디지털헬스 등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공통 데이터·플랫폼·에이전트 체계를 구축 중”이라며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1단계를 마무리했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2단계를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데이터 공유의 현실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입법 필요성도 제기됐다.

정숙경 AI+SPSS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의료정보는 공유 자체가 어려워 실증이 막히는 경우가 많다”며 “광주 실증사업에 한시적·특례적 데이터 활용을 허용하는 입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수훈 위원장은 “헬스케어는 AI가 시민 삶을 가장 빠르게 바꿀 수 있는 분야”라며 “기업·기관의 현장 제안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광주형 AI 건강관리·통합돌봄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AI특위는 오는 21일 미래모빌리티 분야를 주제로 4차 조찬간담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전경훈 기자 hu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