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장애인종합복지관 이동·정보 취약 장애인 위해
광주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18일(화),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장애인 맞춤형 재난키트 지원사업’을 실시했다.
재난 대비 수준이 국내 가구의 약 60 % 이상에서 ‘준비 부족’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장애인은 이동·정보·대피 여건에서 일반인보다 구조적으로 더 많은 제약을 안고 있다. 복지관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위험에 보다 취약한 장애인 대상의 맞춤형 지원 틀을 마련했다.
현재 복지관 이용인 중 지체·뇌병변 장애인이 48 %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재난 발생 시 휠체어 이동, 시각·청각 정보 접수, 구조기관과의 의사소통 등에서 제약이 더 크다. 이에 복지관은 재난취약계층이 최소한의 대응수단을 갖출 수 있도록 이번 사업을 기획했다.
사업은 2025년 6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 카카오같이가치 온라인 모금 활동을 통해 총 3856명의 시민 참여와 126만 9300원의 성금 확보로 시작됐다. 이 기금은 장애인 대상 재난키트 마련과 대응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전액 사용됐다. 시민 참여를 통해 민간 공공 연대가 재난안전망을 실질적으로 강화했다는 평가다.
재난키트는 일반 키트와 달리 장애 특성을 고려해 실질적인 구성품으로 설계됐다. 휠체어 사용자용 스페어 타이어와 펑크 방지액은 이동 중 발생 가능한 상황을 대비한 것이며, 손전등·비상식량 등 기본 대비용품도 포함됐다.
이외에도 ‘개인별 재난 대비카드’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 특성, 비상연락망, 지원필요사항 등을 카드 형태로 기록해 구조·대피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제작한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재난 안전 가이드’ 영상 시청을 통해 참여자 스스로 재난상황에서 판단하고 대응할 수 있는 역량도 키웠다.
한 참여자는 “국내에는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재난키트가 거의 없어 해외 제품에 의존해 왔다”며 “복지관에서 실제 상황을 반영한 구성품으로 지원해줘서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복지관 관계자는 “재난은 누구에게나 올 수 있지만, 장애인은 이동·정보·소통 면에서 기본적인 불리함을 안고 있다”고 지적하며 “장애인의 생존과 안전이 개인의 대응능력이나 운에 맡겨지지 않도록 지원체계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복지관은 이번 사업을 계기로 재난취약 장애인 가정 발굴을 확대하고, 장애인의 재난대응 교육을 정례화하는 한편, 지역사회 기반의 재난안전망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재난안전 정책 흐름에 맞춰 공공기관·민간단체 간 협력모델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정희원 시민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