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평가서 243개 지자체 중 최우수
전북특별자치도가 일자리 창출 분야에서 전국 최고 지자체로 인정받았다.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5년 상반기 일자리사업 평가'에서 전국 243개 지방정부 중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되며 특별교부세 1억 원을 확보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평가에서 광역지자체 최우수 등급을 받은 곳은 전북도와 충북도 단 2곳뿐이다. 광역 17곳 중 상위 2곳만이 받을 수 있는 영예였다.
경상남도 등 7개 광역자치단체는 우수로 선정돼 5000만 원의 특별교부세를 받았다. 전북도는 이들보다 한 단계 높은 최우수 등급으로 2배의 인센티브를 받게 됐다.
올해 처음 도입된 이번 평가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 추진하는 일자리사업의 집행·관리 역량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정부 공식 평가다.
전국 243개 광역·기초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로 나누어 진행됐다. 정량평가는 채용 목표 증가율과 달성도, 집행액 목표 증가율과 달성도를 평가했다.
전북도는 상반기 신속한 사업 집행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목표 대비 높은 채용 실적도 주요 성과로 꼽혔다. 아동안전지킴이 등 우수사례 추진 성과도 좋은 점수를 받았다.
정성평가 항목에서 전북도의 우수사례 추진 내용이 인정받은 것이다. 기초지자체에서는 경남 남해군을 포함한 3개 지자체가 최우수를 받았다. 전남 진도군을 포함한 10개 지자체가 우수 시군으로 선정됐다.
총 22개 지자체가 수상했으며, 광역 9곳(최우수 2, 우수 7), 기초 13곳(최우수 3, 우수 10)에 10억 원의 인센티브가 배정됐다.
인센티브는 등급별로 차등 지급된다. 최우수 광역은 특별교부세 1억 원, 우수 광역은 5000만 원을 받는다.
최우수 기초 지자체는 5000만 원, 우수 기초 지자체는 3000만 원을 받는다. 전북도는 광역 최우수로 선정되며 최고액인 1억 원을 확보했다.
우수로 선정된 7개 광역자치단체는 산·학·관 맞춤형 인력 공급 정책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지역 수요 대응형 사례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전북도는 이들보다 한 단계 높은 평가를 받으며 일자리 정책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전북도는 이번 최우수 선정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산업 특성에 맞춘 전북형 일자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청년·신중년 등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도 강화한다. 사업별 목표·집행률 관리 체계를 더욱 고도화할 방침이다.
김인태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이번 최우수기관 선정은 도와 시·군이 함께 구축해 온 체계적인 일자리 관리 시스템의 성과가 입증된 뜻깊은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정적 일자리 제공과 신속한 고용지원 체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재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