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된 장애인 치과 주치의 제도가 광주에서 뿌리 내리지 못하고 있다. 제도가 시행된 지 1년 반이 넘도록 참여율이 저조해 적정한 진료 수가 보장과 참여 치과의 행정적 부담을 덜 수 있는 지원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광주지역 치과 병원 670곳 중 장애인치과 주치의 병원으로 등록된 병원은 29곳(4.3%)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처럼 등록된 병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 장애인들이 마음 놓고 치료 받을 수 있는 환경도 아니어서 광주시는 장애인 치과 치료의 사각 지대라 해도 할 말이 없는 곳이다. 주치의 병원의 치료 환경도 열악하다. 엘리베이터 시설이 없어 접근 자체가 어려운 곳이 대부분이고 전용 진료 시설을 갖춘 곳도 없어 장애인들의 치과 진료는 남의 나라 얘기다.
주치의 제도가 유명무실하다보니 광주시 장애인들은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인 전남대 병원을 찾는 것이 그나마 최선이다. 그러나 전남대 병원은 짧게는 수개월 길게는 2년 이상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어서 장애인들은 이가 아프면 견디는 수밖에 없다. 지금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전남대 병원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장애인들의 호소다.
장애인 치과 주치의제도에 공감하는 의사들은 많다. 그러나 주치의들의 사명감만으로 제도를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제도 도입 1년의 결산이다. 현행 수가 체계나 행정적 지원으로 장애인 치과 주치의 제도 정착은 무리라는 것이 의사들의 중론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최소한 의사들이 마음 놓고 치료할 수 있는 인력 배치나 장비 도입만이라도 서둘러야 한다.
장애인 치과 주치의 제도는 단순한 의료 지원 서비스를 넘어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려는 몸짓이다. 인권의 도시라는 광주에서 장애인의 치통을 모른 채 한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장기적으로는 장애인 공공치과 병원 설립이 바람직하지만 당장은 주치의 제도 맹점을 보완하고, 지속 가능한 지원 모델을 구축할 때다. 장애인의 날만 반짝 위하는 척 하지 말고 아픈 이부터 돌봤으면 한다.
